"尹대통령이 간다" 기대감 폭발…5일 만에 20% 뛴 종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번주 방산 '빅4' 일제히 강세
윤석열 대통령, 세일즈 외교에 들썩
방산 ETF도 8%대 수익 거둬
"시장 경쟁 심화·대금 회수 리스크는 변수"
윤석열 대통령, 세일즈 외교에 들썩
방산 ETF도 8%대 수익 거둬
"시장 경쟁 심화·대금 회수 리스크는 변수"
![지난해 11월 24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ZA.31916064.1.jpg)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1월 9~13일) 국내 대형 방산주 '빅4'의 주가는 나란히 올랐다. 전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9.7% 급등했고 한국항공우주(12.57%)와 현대로템(8.81%), LIG넥스원(6.45%)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대형 방산주는 지난주(1월 2~6일)만 하더라도 부진했다. LIG넥스원은 15.94% 하락했고, 한국항공우주도 13.26% 급락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8% 넘게 빠졌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가 2.4% 오른 점을 감안하면 더욱 낙폭이 컸던 셈이다.
나승두 SK증권 연구원은 "올해 첫 주 방산기업들의 주가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고전했다"며 "지난해 방산주가 증시를 아웃퍼폼(시장 수익률 초과)한 데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주엔 달랐다. 시장에서는 방산주가 UAE와의 방산 부문 협력 기대감이 작용하면서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윤 대통령의 UAE 순방엔 한국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앞서 최상목 경제수석은 브리핑에서 UAE에 대해 "우리가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육성 중인 원전, 방산, 인프라 분야에서 핵심 협력 국가"라고 평가했다.
나 연구원은 "방위산업은 국가 간(G2G) 협력 성격이 강해 방산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기 충분한 상황"이라며 "다음 달 예정된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PGZ 회장의 방한 소식도 투자심리를 자극했다"고 분석했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세바스찬 흐바웩 PGZ 회장은 다음 달 방한해 KF-21과 레드백 등 신무기 도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ZA.31968348.1.jpg)
이같이 호재가 다분하지만 리스크도 도사리고 있다. 미국, 독일 등 기존의 방산 강대국들이 패권 경쟁과 안보 강화를 이유로 무기 생산을 늘리면서 글로벌 방산 시장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이는 빅4 방산주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황 연구원은 "재무장을 선언하며 대규모 군비확장을 진행중인 독일이 무기 생산을 늘려 규모의 경제를 통한 생산 단가 하락에 성공할 경우 가성비(가격대비성능)로 승부하던 국내 방위 산업에 큰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계약금을 수령하는 과정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황 연구원은 봤다. 무기 공급 계약은 거래대금 규모가 커서다. 황 연구원은 "인도네시아는 5년째 KF-21 개발 관련 분담금을 연체하고 있다"며 "무기 공급 계약은 금액이 큰 만큼 대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