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는 누구의 한도를 줄였을까 [슬기로운 금융생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중채무자·연체자 등 대상
카드업계 "선제적 리스크관리 필요"
카드업계 "선제적 리스크관리 필요"
"1,000만 원이었던 신용카드 한도, 새해 들어 200만 원으로 확 줄었습니다"
올해 들어 신용카드 한도가 크게 줄어드는 '날벼락'을 맞았다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1,000만 원이었던 한도가 반토막 나거나, 심한 경우 200만 원까지 급격하게 축소되면서 자금줄이 막혔다는 불만의 목소리들이 이어지고 있죠. 하지만 카드사들이 모든 사람들의 한도를 줄인 것은 아닐 겁니다. 카드사들은 어떤 이들의 한도를, 대체 어떤 이유로 줄인 걸까요?
◆ 1,000만 원에서 절반으로 '뚝'
사건의 발단은 지난 연말부터 시작됩니다. 신한과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카드 등 국내 주요 카드사들은 지난 연말 카드 회원들의 이용 한도 점검에 나섭니다. 신용카드 표준약관과 모범규준에 따라 카드사들은 연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원에게 부여된 이용한도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한도 축소가 올해에만 특정된 일은 아닙니다. 카드사들은 매년 이용한도 적정성 점검을 통해 일부 회원에 대해서는 한도 조정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올해 특히 문제가 된 것은 한도 축소 폭과 규모가 예년보다 커졌기 때문입니다.
기존 1,000만 원대 이용한도가 부여됐던 회원들 중 이달부터 200만~500만 원대로 급격하게 축소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사실상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금액이 절반 가량 줄어든 셈입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도하향 문자를 받았다'는 글들이 연이어 올라오고 있습니다.
◆ '여기' 해당되면 한도조정 대상
그렇다면 카드사들은 어떤 회원들의 한도를 축소한 걸까요? 카드사들은 기본적으로 월평균 결제 능력과 신용도, 이용실적 등을 파악한 뒤 이용자의 한도를 조정합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연체율입니다. 사용한 금액 만큼 제때 결제가 이뤄졌는 지, 혹 수개월 이상 카드값을 갚지 못 해 연체가 이뤄진 경우는 없는 지 등이 점검 대상이 됩니다.
실제 카드사들을 대상으로 취재해본 결과 올해 역시도 연체 여부가 중요한 지표가 됐습니다. 특징적인 것이 있다면 바로 '리볼빙 서비스' 사용 여부입니다. 일부 카드대금만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음 달로 이월하는 '이월약정서비스'인데, 일부 카드사는 리볼빙 서비스 실적도 이용한도 조정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합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최소금액 결제비중이 적고, 이월된 금액이 불어난 경우 한도 조정 대상자가 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 가지 더 중요한 조건은 바로 '다중채무' 여부입니다. 카드뿐만 아니라 다른 2금융권 대출이 있는 경우 카드사 입장에서는 위험률이 높은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A저축은행에 신용대출이 있는 상태에서 B카드사의 카드론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다중채무자로 인식, 이번 한도 조정 대상에 포함된 겁니다.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바로 '가상자산 결제' 내역입니다. 가상자산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해외 거래소 중 가상자산의 카드 결제가 가능한 곳들이 있죠. 일부 카드사들은 해외에서 가상자산 결제 이력이 있는 경우 현 금융시장 상황에서는 리스크가 높다고 판단, 한도 조정 대상에 포함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카드사 "불가피한 사전 예방 조치"
카드사들이 올해 여러 기준을 적용하며 보다 엄격하게 한도를 줄이는 이유는 뭘까요? 먼저 리스크 예방 차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채권금리, 즉 카드사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금리 역시 올랐습니다. 예를 들면 1년 전 3%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던 카드사들이 현재는 5~6%의 금리로 자금을 자금을 조달해오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소비자들에게 돈을 빌려주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동성 확보가 중요한데, 그 환경이 열악해진 겁니다.
여기에 시장금리 상승으로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카드대출 금리도 오르고 있는 상황. 카드대출 금리뿐만 아니라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마저 고공행진 중인 상황입니다. 보통 여러 금융기관에 채무가 있는 경우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 최후의 수단인 일명 '카드 돌려막기'로 연명하는 사람들 역시 늘게 됩니다.
카드사 입장에선 결국 '연체자'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는 곧 카드사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겠죠. 이번 이용한도 조정의 폭이 컸던 것도 부실을 막기 위한 선제조치 중 하나라는 것이 카드사들의 설명입니다.
물론 이 같은 조치로 인해 갑작스레 자금운용에 애로가 생긴 금융소비자들도 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다른 금융기관과 달리 예적금 판매 등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 입장에선 한도를 축소해 카드 이용 기준을 강화하는 것만이 예방책이 될 수 있다고 토로합니다.
★ 슬기로운 TIP
이번 카드 이용한도 조정으로 한도가 축소된 이용자들은 전체의 10% 내외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한도의 변동이 없는 이용자들이 대다수라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카드사로부터 '위험 인물'로 찍히지 않은 이용자들의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체 유무입니다. 결제대금을 밀리지 않고 잘 갚는 것이 사실상 가장 중요한 포인트겠죠. 카드 이용한도에 근접하게 사용하는 것도 신용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카드사들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월 이용한도가 500만 원인데 매달 495만 원씩 한도 직전까지 사용하는 경우 카드사 입장에서 잠재적 위험 인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한도에 꽉 채워쓰기보다는 일정 수준 남겨놓은 뒤 일부는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카드소비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
올해 들어 신용카드 한도가 크게 줄어드는 '날벼락'을 맞았다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1,000만 원이었던 한도가 반토막 나거나, 심한 경우 200만 원까지 급격하게 축소되면서 자금줄이 막혔다는 불만의 목소리들이 이어지고 있죠. 하지만 카드사들이 모든 사람들의 한도를 줄인 것은 아닐 겁니다. 카드사들은 어떤 이들의 한도를, 대체 어떤 이유로 줄인 걸까요?
◆ 1,000만 원에서 절반으로 '뚝'
사건의 발단은 지난 연말부터 시작됩니다. 신한과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카드 등 국내 주요 카드사들은 지난 연말 카드 회원들의 이용 한도 점검에 나섭니다. 신용카드 표준약관과 모범규준에 따라 카드사들은 연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원에게 부여된 이용한도 적정성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번 한도 축소가 올해에만 특정된 일은 아닙니다. 카드사들은 매년 이용한도 적정성 점검을 통해 일부 회원에 대해서는 한도 조정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올해 특히 문제가 된 것은 한도 축소 폭과 규모가 예년보다 커졌기 때문입니다.
기존 1,000만 원대 이용한도가 부여됐던 회원들 중 이달부터 200만~500만 원대로 급격하게 축소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사실상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금액이 절반 가량 줄어든 셈입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한도하향 문자를 받았다'는 글들이 연이어 올라오고 있습니다.
◆ '여기' 해당되면 한도조정 대상
그렇다면 카드사들은 어떤 회원들의 한도를 축소한 걸까요? 카드사들은 기본적으로 월평균 결제 능력과 신용도, 이용실적 등을 파악한 뒤 이용자의 한도를 조정합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연체율입니다. 사용한 금액 만큼 제때 결제가 이뤄졌는 지, 혹 수개월 이상 카드값을 갚지 못 해 연체가 이뤄진 경우는 없는 지 등이 점검 대상이 됩니다.
실제 카드사들을 대상으로 취재해본 결과 올해 역시도 연체 여부가 중요한 지표가 됐습니다. 특징적인 것이 있다면 바로 '리볼빙 서비스' 사용 여부입니다. 일부 카드대금만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음 달로 이월하는 '이월약정서비스'인데, 일부 카드사는 리볼빙 서비스 실적도 이용한도 조정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합니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최소금액 결제비중이 적고, 이월된 금액이 불어난 경우 한도 조정 대상자가 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한 가지 더 중요한 조건은 바로 '다중채무' 여부입니다. 카드뿐만 아니라 다른 2금융권 대출이 있는 경우 카드사 입장에서는 위험률이 높은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A저축은행에 신용대출이 있는 상태에서 B카드사의 카드론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다중채무자로 인식, 이번 한도 조정 대상에 포함된 겁니다.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은 바로 '가상자산 결제' 내역입니다. 가상자산시장이 활성화되면서 해외 거래소 중 가상자산의 카드 결제가 가능한 곳들이 있죠. 일부 카드사들은 해외에서 가상자산 결제 이력이 있는 경우 현 금융시장 상황에서는 리스크가 높다고 판단, 한도 조정 대상에 포함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카드사 "불가피한 사전 예방 조치"
카드사들이 올해 여러 기준을 적용하며 보다 엄격하게 한도를 줄이는 이유는 뭘까요? 먼저 리스크 예방 차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면서 채권금리, 즉 카드사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금리 역시 올랐습니다. 예를 들면 1년 전 3%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던 카드사들이 현재는 5~6%의 금리로 자금을 자금을 조달해오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소비자들에게 돈을 빌려주기 위해서는 충분한 유동성 확보가 중요한데, 그 환경이 열악해진 겁니다.
여기에 시장금리 상승으로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카드대출 금리도 오르고 있는 상황. 카드대출 금리뿐만 아니라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물론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마저 고공행진 중인 상황입니다. 보통 여러 금융기관에 채무가 있는 경우 금리 인상으로 이자 부담이 커지면, 최후의 수단인 일명 '카드 돌려막기'로 연명하는 사람들 역시 늘게 됩니다.
카드사 입장에선 결국 '연체자'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는 곧 카드사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겠죠. 이번 이용한도 조정의 폭이 컸던 것도 부실을 막기 위한 선제조치 중 하나라는 것이 카드사들의 설명입니다.
물론 이 같은 조치로 인해 갑작스레 자금운용에 애로가 생긴 금융소비자들도 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다른 금융기관과 달리 예적금 판매 등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 입장에선 한도를 축소해 카드 이용 기준을 강화하는 것만이 예방책이 될 수 있다고 토로합니다.
★ 슬기로운 TIP
이번 카드 이용한도 조정으로 한도가 축소된 이용자들은 전체의 10% 내외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한도의 변동이 없는 이용자들이 대다수라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카드사로부터 '위험 인물'로 찍히지 않은 이용자들의 특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체 유무입니다. 결제대금을 밀리지 않고 잘 갚는 것이 사실상 가장 중요한 포인트겠죠. 카드 이용한도에 근접하게 사용하는 것도 신용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카드사들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월 이용한도가 500만 원인데 매달 495만 원씩 한도 직전까지 사용하는 경우 카드사 입장에서 잠재적 위험 인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한도에 꽉 채워쓰기보다는 일정 수준 남겨놓은 뒤 일부는 다른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카드소비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