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올해는 세계화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에 생산 의존하던 각국, 멕시코 베트남 등으로 다변화
중국도 미국 제재 받으면서 러시아와 무역 규모 키워
중국도 미국 제재 받으면서 러시아와 무역 규모 키워
'세계화는 죽지 않았다. 변하고 있을 뿐이다.'
중국에 생산을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각국이 멕시코와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으로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또한 미국 투자 규모가 줄면서 러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 등과의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경제 갈등 심화가 세계화를 죽음으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재편하고 있다는 평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심지어 중국 기업까지 중국의 정치적인 불안정성과 최근 높아진 인건비 등으로 베트남과 멕시코 등지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베트남을 기반으로 한 자산관리·개발회사 ECV 홀딩스의 데이비드 루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베트남은 세계 지배에 대한 야망을 제외하고 중국에 대해 원하는 모든 요소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젊고 잘 교육받은 생산가능인구만 약 1억명에 달하는 데다 베트남 정부 또한 경제 발전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가전업체 하이센스는 멕시코 투자를 늘리고 있다. 2015년엔 일본 샤프로부터 멕시코 로사리토에 있는 TV 제조 공장을 인수했다. 현재 멕시코 북부 몬테레이시에 가전산업단지를 개발 중이다. WSJ은 하이센스가 대미 무관세 수출을 위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주방가전 등의 생산에 2억6000만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 또한 중국의 정치적 불안정성을 피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이센스의 경우 미중 무역 갈등 구도 안에 멕시코를 끼워 넣은 게 묘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의 제재를 피하면서 관세 부담도 덜 수 있어서다.
제품의 70%를 유니클로에 납품하는 일본 의류제조기업 마츠오카는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시아 생산 비중을 현재 50%에서 2026년 71%까지 올리겠다고 지난해 발표했다. 이를 위해 방글라데시와 베트남에 87억엔을 들여 생산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기술력은 높지만 인건비가 올라 인력 확보가 어려워졌다"며 "베트남과 방글라데시에서 근로자를 모집하는게 수월하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최근 중국 관세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대러시아 무역 규모가 1조2800억위안(약 235조원)을 달성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 부과된 제재 때문에 유럽 외 지역으로 에너지 수출 다변화를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중국은 철로를 통한 러시아산 액화석유가스(LPG) 수입량을 두배가량 늘렸다.
러시아와 EU 간 에너지 갈등 속에서 기회를 얻은 곳은 미국이다. EU 집행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러시아 가스관을 통한 가스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4% 줄었다. 반면 EU의 LNG 수입량은 대폭 증가했다. EU의 지난해 3분기 LNG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89% 늘어난 320억㎥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EU는 지난해 1~11월 미국에서만 LNG 520억㎥를 수입했다. 전년 동기 대비 136% 늘어난 수치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중국에 생산을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각국이 멕시코와 베트남, 방글라데시 등으로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또한 미국 투자 규모가 줄면서 러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 등과의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경제 갈등 심화가 세계화를 죽음으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재편하고 있다는 평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미국을 비롯해 일본과 심지어 중국 기업까지 중국의 정치적인 불안정성과 최근 높아진 인건비 등으로 베트남과 멕시코 등지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트남·멕시코 부상
미국의 통계청인 센서스 뷰로(Census Bureau)에 따르면 미국의 수입 규모에서 차지하는 중국의 비중은 2017년 22%에서 지난해 17%로 줄었다. 반면 2007년 이전 대미 수출이 10억 달러 미만이던 베트남이 지난해 1200억 달러로 늘었다. 멕시코의 대미 수출액은 2008년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4000억 달러에 달했다.이에 대해 베트남을 기반으로 한 자산관리·개발회사 ECV 홀딩스의 데이비드 루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베트남은 세계 지배에 대한 야망을 제외하고 중국에 대해 원하는 모든 요소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젊고 잘 교육받은 생산가능인구만 약 1억명에 달하는 데다 베트남 정부 또한 경제 발전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가전업체 하이센스는 멕시코 투자를 늘리고 있다. 2015년엔 일본 샤프로부터 멕시코 로사리토에 있는 TV 제조 공장을 인수했다. 현재 멕시코 북부 몬테레이시에 가전산업단지를 개발 중이다. WSJ은 하이센스가 대미 무관세 수출을 위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주방가전 등의 생산에 2억6000만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 또한 중국의 정치적 불안정성을 피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이센스의 경우 미중 무역 갈등 구도 안에 멕시코를 끼워 넣은 게 묘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의 제재를 피하면서 관세 부담도 덜 수 있어서다.
제품의 70%를 유니클로에 납품하는 일본 의류제조기업 마츠오카는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시아 생산 비중을 현재 50%에서 2026년 71%까지 올리겠다고 지난해 발표했다. 이를 위해 방글라데시와 베트남에 87억엔을 들여 생산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기술력은 높지만 인건비가 올라 인력 확보가 어려워졌다"며 "베트남과 방글라데시에서 근로자를 모집하는게 수월하다"고 말했다.
중국-러시아 무역규모 커져
미국의 제재가 강화되는 가운데 중국도 대안을 찾아 나서고 있다. 중국의 니즈는 러시아와 맞아떨어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 연합(EU) 국가들과 갈등이 커지면서다.로이터는 최근 중국 관세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대러시아 무역 규모가 1조2800억위안(약 235조원)을 달성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래 부과된 제재 때문에 유럽 외 지역으로 에너지 수출 다변화를 추진해 왔다. 그 결과 중국은 철로를 통한 러시아산 액화석유가스(LPG) 수입량을 두배가량 늘렸다.
러시아와 EU 간 에너지 갈등 속에서 기회를 얻은 곳은 미국이다. EU 집행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러시아 가스관을 통한 가스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74% 줄었다. 반면 EU의 LNG 수입량은 대폭 증가했다. EU의 지난해 3분기 LNG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89% 늘어난 320억㎥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EU는 지난해 1~11월 미국에서만 LNG 520억㎥를 수입했다. 전년 동기 대비 136% 늘어난 수치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