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의 경기 침체 극복에 관한 세션. 왼쪽부터 로라 차 홍콩증권거래소 회장, 마리오 센테노 포르투갈 중앙은행 총재, 프랜신 라퀴아 블룸버그TV 에디터, 악셀 레만 크레디트스위스 회장, 더글러스 피터슨 S&P글로벌 CEO. 사진=세계경제포럼(WEF)
17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의 경기 침체 극복에 관한 세션. 왼쪽부터 로라 차 홍콩증권거래소 회장, 마리오 센테노 포르투갈 중앙은행 총재, 프랜신 라퀴아 블룸버그TV 에디터, 악셀 레만 크레디트스위스 회장, 더글러스 피터슨 S&P글로벌 CEO. 사진=세계경제포럼(WEF)
세계 금융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올해 경제 반등의 기점은 중국이 될 거라고 진단했다. 미국, 유럽 등이 침체 문턱을 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내수 경기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에 따라 경기 침체의 강도가 결정될 거란 설명이다.

17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EF)의 ‘경기침체의 극복’이란 토론에서 로라 차 홍콩증권거래소(HKEX) 회장은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은 올해 세계 경제에서 주요 사건이 될 것"이라며 "세계 경제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 회장은 "중국뿐 아니라 인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가 새로운 성장 엔진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들 모두 신흥국이며 강력한 경제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차 회장은 아시아가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35%에서 2027년 45%가 될 거라 관측했다.

더글러스 피터슨 S&P글로벌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중국 소비자들의 억눌린 소비심리가 기저에 깔려있고, 지난 2년간 쌓아온 저축이 있기 때문에 중국은 올해 연말까지 강력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악셀 레만 크레디트스위스(CS) 회장도 “이제 중국은 달라졌다"며 "중국에 앞서 리오프닝을 했던 서구 사회의 경제 성장을 감안하면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4.5%를 찍더라도 놀랄 일은 아니다"고 관망했다. 중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3%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창궐한 2020년(2.2%)보다 높지만, 문화대혁명이 일어난 1976년(-1.6%)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올해 가장 큰 위험으로는 지정학적 위기가 꼽혔다. 마리오 센테노 포르투갈 중앙은행장은 “여러 경제 지표를 살펴보면 아직 경기침체가 기정사실로 된 건 아니다"라며 "하지만 올해 지정학적 위기를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피터슨 CEO는 신용 위기를 거론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고수익 채권이 지나치게 많이 발행됐다"며 "금리 수준이 더 높아지게 되면 부채를 리파이낸싱(재융자)하려는 기업들이 흔들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