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변엔 '대기업 맞벌이' 많던데"…사실일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 'BOK 경제연구'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경제연구 '소득동질혼과 가구구조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국제비교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동질혼 지수는 1.16배로, 분석 대상 34개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분석 대상국 평균치(1.6배)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예컨대 한국의 경우 소득 10분위 남편과 아내의 결혼이 관측되는 빈도는 2.2배(무작위일 경우 1배)였지만, 주요국은 3배였다. 한국에서 고소득층끼리 결혼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뜻이다. 반면 한국에서 소득 10분위 남편과 소득 0분위 아내의 결혼이 관측되는 빈도는 1.2배지만, 주요국 평균은 0.9배였다. 마찬가지로 소득 0분위 남편과 소득 5분위 아내의 결혼이 관측되는 빈도는 1.3배지만, 주요국 평균은 0.7배였다. 소득 차이가 큰 남녀의 결혼이 많다는 의미다.
한국의 가구 소득 형성단계별 지니계수(0=완전 평등, 1=완전 불평등)를 주요국과 비교해도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취업자 근로소득의 지니계수는 0.452로, 분석 대상국 28개(세후소득 집계 6개국 제외)국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그만큼 불평등이 심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가구 근로소득 지니계수(0.361) 순위는 24위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가구 내 소득공유 효과가 주요국에 비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소득동질혼과 가구 구조가 주요국과 비슷해지면 한국의 소득불평등은 얼마나 심화할까?
연구팀이 모의실험 결과 한국의 소득동질혼과 가구구조가 주요국과 같으면 가구 근로소득 지니계수가 평균 10%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으로 스웨덴이나 덴마크 같은 북유럽 수준으로 가정한다면, 가구 근로소득 지니계수는 0.417로, 현재 대비 15% 급상승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