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연 세미나에서 2023 증권업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신현아 기자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이 26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연 세미나에서 2023 증권업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신현아 기자
작년 최악의 부진을 겪었던 증권시장이 올해는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반기 금리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부동산 프로젝트금융(PF) 부실 우려에 따른 건전성 위험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증권사들의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사진)은 26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연 세미나에서 2023년 증권산업 전망에 대해 이같은 의견을 내놨다. 이 연구위원은 "올해 긴축 지속과 경기 침체 우려로 증권시장의 수익성 둔화가 예상되지만 하반기부터는 경기부양과 금리하락에 대한 기대로 위탁매매, 자기매매, 투자은행(IB), 자산관리 등 사업부문별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올해 증시가 되살아나면서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도 활발해질 것으로 봤다. 지난해 고금리에 자금시장 경색이 겹치면서 IPO 시장은 얼어붙었다. 현대오일뱅크, SK쉴더스 등 연초부터 상장을 철회하거나 연기하는 업체가 잇따랐다. 작년 상장 철회 기업은 13곳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작년 연기된 대형 IPO 딜이 재추진될 수 있다"며 "시장에서 밸류에이션(평가가치)을 회복하면 IPO 규모는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상증자에 대해선 "고금리에 채권시장 조달 비용마저 증가했다"며 "증시 회복에 따라 상장기업들의 유상증사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위축됐던 인수합병(M&A) 시장도 금리상승 완화 기조에 따라 차츰 회복세를 띌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지난해 증시 침체, 투자 축소로 부실 위기를 겪었던 바이오, 금융 업종의 M&A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이 연구위원은 경기침체, 부동산 경기 위축 등의 악재가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점은 시장에 리스크로 부각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PF 유동화증권 규모는 20조원 이상으로 추산됐다.

이 빚을 갚지 못하면 파장은 증권업계를 넘어 한국경제 전반으로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만큼, 이 연구위원은 "부동산 PF 관련 위험이 구조적인 리스크로 확대되지 않도록 선제적인 위험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론 변동성에 대비한 유동성 관리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론 부동산PF 손실 가능성에 따른 건전성을 관리해야 한다"며 "현금성 자산을 확대하고 자산과 부채의 장단기 미스매칭(불일치)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진 늪 벗어나는 증시…화두는 디지털자산"[2023 자본시장 전망]
세미나에선 올해 증권업계 최대 화두 중 하나로 '디지털자산'이 꼽혔다. 그중에서도 올해 발행·유통이 허가된 '증권형 토큰' 도입에 대한 기대감이 퍼졌다. 증권형 토큰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증권성이 있는 권리를 토큰 형태로 발행한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블록체인 기술로 증권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을 허용했다. 제도권 안으로 편입시켜 안전한 장외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하겠단 취지다. 올해 2월 초 세부 가이드라인을 내놓는다. 증권업계에서는 거래 플랫폼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증권형 토큰 도입 기대로 증권회사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 함께 참석한 김준석 자본연 연구위원은 "증권형 토큰이 규제 틀 안으로 들어오게 됐기 때문에 다양한 신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며 "증권 발행 유통의 혁신 활동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 연구위원은 올해 증권업계에 기회로 작용할 요인으로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외환업무 확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산업 육성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 등 모험투자 확대를 꼽았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