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이' 글로벌 1위 일등공신, VFX 총괄 '엔진비주얼웨이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넷플릭스 영화 '정이' 속 연료봉 공장 컨셉 이미지 /사진=엔진비주얼웨이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69372.1.jpg)
콘텐츠미디어 그룹 NEW(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의 VFX 계열사 엔진비주얼웨이브는 사이버펑크 장르 특유의 디스토피아와 최첨단의 기술이 공존하는 세계관, 인간과 로봇의 경계에 선 전투형 A.I. 등 한국 SF 장르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 연상호 감독의 넷플릭스 영화 '정이'의 시각특수효과를 담당했다.
2194년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연상호 감독의 큰 그림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엔진비주얼웨이브는 최종 시나리오가 나오기 이전 단계부터 연출자가 생각하는 이미지를 시각화하며 세계관의 디테일을 높이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극중 급격한 기후 변화로 물에 잠긴 디스토피아라는 설정에 기반해 도시 전경, 크로노이드 본사, 연료봉 공장 등 주요 공간과 풍경을 디자인하고 물에 녹슬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의 로봇 설정으로 구조적인 개연성을 강화했다. 이 과정에서 엔진비주얼웨이브는 감정 표현까지 가능한 최고의 전투 A.I. '정이'의 사실적인 구현을 위해 초기 단계부터 의상, 분장, 특수분장 팀과의 협의를 거쳐 디자인 콘셉트를 구축했다.
엔진비주얼웨이브의 나일환 프리프로덕션 본부 이사는 "물에 잠긴 미래의 도시는 어떤 자원을 어디서 수급할 것인가에 대한 상상에서 출발해 일반적인 메탈 소재의 로봇이 아닌 물에 취약하지 않은 플라스틱 소재의 로봇을 고안해냈다"며 "아예 다른 새로움을 추구하다 자칫 과해질 수 있는 부분을 늘 경계하며 진정성과 개연성을 바탕으로 관객을 설득할 수 있도록 차근히 빌드업 했다"고 전했다.
!['안드로이드 정이' 콘셉트 이미지 /사진=엔진비주얼웨이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69389.1.jpg)
화려한 영상미와 실제 촬영이 불가능한 장면을 구현하는 기술력에 호평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이'의 VFX를 총괄한 엔진비주얼웨이브와 제작에 참여한 덱스터스튜디오에 콘텐츠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테스트 정이-뇌 개폐' 콘셉트 디자인 /사진=엔진비주얼웨이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69396.1.jpg)
한편, 엔진비주얼웨이브는 올해 공개를 예정한 디즈니+의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을 비롯해 강형철 감독의 신작 '하이파이브', 엄태화 감독의 신작 '콘크리트 유토피아' VFX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