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군 "민간인 대량 피해 막기 위해 전술적 후퇴"
민주콩고 동부 폭력 사태 격화…반군, 키창가 점령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반군 M23이 동부 키창가를 점령했다고 민주콩고 정부군이 27일(현지시간) 밝혔다.

AFP 통신에 따르면 M23은 사흘간의 전투 끝에 전날 늦게 동부 노스키부주 주도인 고마에서 북쪽으로 90㎞ 떨어진 인구 6만 명의 키창가를 장악했다.

보안 소식통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최소 14명이 사망했다.

노스키부주의 군정 대변인 기욤 은지케 중령은 "키창가 마을 주민의 대량학살과 같은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전술적으로 후퇴했다"며 "우리는 반군을 몰아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군은 이에 앞서 키창가와 고마를 연결하는 도로변의 마을 여러 개를 점령했다.

동쪽 르완다 접경의 인구 100만 도시인 고마는 반군이 지난해 10∼11월 북쪽의 2번 국도를 차지하면서 이미 북부와 단절된 상태였다.

르완다 집권 세력과 같은 부족인 투치족으로 구성된 M23은 수년간의 휴면기를 거쳐 2021년 11월부터 민주콩고 동부에서 무장 공격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민주콩고와 'M23 후원국'인 르완다 등이 역내 정상들과 회담에서 휴전에 합의함에 따라 최근 동부의 다른 점령지 두 곳에서 철수를 선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반군과 민주콩고 정부군의 전투가 다시 격화하면서 민간인 수백 명이 집을 떠나야 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이에 우후루 케냐타 전 케냐 대통령은 지난 25일 성명을 내고 노스키부주의 상황이 급격히 악화하는 것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폭력 사태 종식을 호소했다.

케냐타 전 대통령은 케냐, 민주콩고, 르완다 등 7개국으로 구성된 동아프리카공동체(EAC) 블록을 대신해 이 지역 분쟁의 중재역을 맡고 있다.

민주콩고는 M23의 배후로 르완다를 지목하고 유엔 등 국제사회도 이에 동조하고 있지만, 르완다는 배후설을 부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