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유튜브뮤직 음원 시장 '질주'…멜론과 격차 벌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상과 시너지는 장점·끼워팔기 비판도…지니는 4위로 한 계단 하락
세계 1위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와 산하 음악 서비스 유튜브뮤직이 국내 음원 시장에서 질주하고 있다.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의 이용률을 합산하면 이미 국내 1위 음원 플랫폼 멜론을 넘어선 가운데 이들의 성장으로 국내 업체 지니는 4위로 밀린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2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음악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주 이용 서비스'로는 멜론이 32.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튜브가 28.7%로 2위, 유튜브뮤직은 9.8%로 3위를 차지했다.
전년도까지 3위였던 지니는 4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이어 플로(6.1%), 네이버 바이브(3.6%), 벅스(3.1%), 스포티파이(1.8%), 애플뮤직·카카오뮤직(1.3%), 소리바다(0.9%) 등이 뒤따랐다.
이 조사는 지난해 7월 22일부터 8월 26일까지 전국 10∼69세 국민 가운데 최근 1년간 음악 콘텐츠를 2∼3개월에 1회 이상 이용한 3천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면상으로는 멜론이 음원 플랫폼 1위를 유지했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국내 플랫폼의 '위기'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조사에서 멜론 이용률은 2020년 36.4%에서 2021년 34.6%, 지난해 32.8%로 3년 연속 하락했다.
반면, 유튜브 이용률은 2020년 26.0%에서 지난해 28.7%로 올라갔다.
이에 두 플랫폼 이용률 차이는 2020년 10.4%포인트에서 지난해 4.1%포인트까지 줄었다.
특히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을 합산하면 이용률은 38.5%로 올라가 멜론을 제치고 1위에 오르게 된다.
유튜브·유튜브뮤직 합산 이용률은 2021년 이미 35.5%로 멜론(34.6%)을 0.9%포인트 차로 앞질렀고, 지난해에는 그 격차가 5.7%포인트 차로 더 벌어졌다.
유튜브가 이처럼 음원 시장에서 선전하는 데는 소비자가 플랫폼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가격이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음악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서비스 선택 이유'를 묻는 말에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은 30.3%가 '무료여서'(또는 할인이 많이 되어서)라고 답했다.
이어 '계속 써오던 것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25.2%로 2위를 차지했다.
한 가요계 관계자는 "요즘은 젊은 소비자 말고도 중·장년층까지 영상을 광범위하게 소비하기 때문에 유튜브가 친숙하다"며 "음악을 듣는 동시에 영상까지 함께 볼 수 있어서 많이 이용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국내 음원 플랫폼 업계 일각에서는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의 가격 정책이 공정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주요 음원 플랫폼의 월 이용료는 7천∼8천원대다.
그런데 유튜브는 광고 없이 영상을 감상하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월 약 1만원에 이용하면 유튜브뮤직 서비스도 무료로 제공한다.
음원 업계 관계자는 "이용자들은 디지털 음악 서비스 이용 시 가격에 가장 민감한데 유튜브는 '끼워팔기'로 플랫폼 유입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음악이 공짜라는 인식을 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토종 음원 플랫폼 업체들은 구글의 인앱 결제 수수료 정책으로 비용 부담이 증가했는데 유튜브의 끼워팔기로 가입자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유튜브는 이같은 지적에 대해 "본사에서 아직 입장이 내려오지 않았다"고만 답했다.
/연합뉴스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의 이용률을 합산하면 이미 국내 1위 음원 플랫폼 멜론을 넘어선 가운데 이들의 성장으로 국내 업체 지니는 4위로 밀린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2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음악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주 이용 서비스'로는 멜론이 32.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유튜브가 28.7%로 2위, 유튜브뮤직은 9.8%로 3위를 차지했다.
전년도까지 3위였던 지니는 4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이어 플로(6.1%), 네이버 바이브(3.6%), 벅스(3.1%), 스포티파이(1.8%), 애플뮤직·카카오뮤직(1.3%), 소리바다(0.9%) 등이 뒤따랐다.
이 조사는 지난해 7월 22일부터 8월 26일까지 전국 10∼69세 국민 가운데 최근 1년간 음악 콘텐츠를 2∼3개월에 1회 이상 이용한 3천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표면상으로는 멜론이 음원 플랫폼 1위를 유지했지만, 좀 더 들여다보면 국내 플랫폼의 '위기'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 조사에서 멜론 이용률은 2020년 36.4%에서 2021년 34.6%, 지난해 32.8%로 3년 연속 하락했다.
반면, 유튜브 이용률은 2020년 26.0%에서 지난해 28.7%로 올라갔다.
이에 두 플랫폼 이용률 차이는 2020년 10.4%포인트에서 지난해 4.1%포인트까지 줄었다.
특히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을 합산하면 이용률은 38.5%로 올라가 멜론을 제치고 1위에 오르게 된다.
유튜브·유튜브뮤직 합산 이용률은 2021년 이미 35.5%로 멜론(34.6%)을 0.9%포인트 차로 앞질렀고, 지난해에는 그 격차가 5.7%포인트 차로 더 벌어졌다.
유튜브가 이처럼 음원 시장에서 선전하는 데는 소비자가 플랫폼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가격이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음악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서비스 선택 이유'를 묻는 말에 응답자 가운데 가장 많은 30.3%가 '무료여서'(또는 할인이 많이 되어서)라고 답했다.
이어 '계속 써오던 것이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25.2%로 2위를 차지했다.
한 가요계 관계자는 "요즘은 젊은 소비자 말고도 중·장년층까지 영상을 광범위하게 소비하기 때문에 유튜브가 친숙하다"며 "음악을 듣는 동시에 영상까지 함께 볼 수 있어서 많이 이용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국내 음원 플랫폼 업계 일각에서는 유튜브와 유튜브뮤직의 가격 정책이 공정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내 주요 음원 플랫폼의 월 이용료는 7천∼8천원대다.
그런데 유튜브는 광고 없이 영상을 감상하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월 약 1만원에 이용하면 유튜브뮤직 서비스도 무료로 제공한다.
음원 업계 관계자는 "이용자들은 디지털 음악 서비스 이용 시 가격에 가장 민감한데 유튜브는 '끼워팔기'로 플랫폼 유입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는 음악이 공짜라는 인식을 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토종 음원 플랫폼 업체들은 구글의 인앱 결제 수수료 정책으로 비용 부담이 증가했는데 유튜브의 끼워팔기로 가입자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유튜브는 이같은 지적에 대해 "본사에서 아직 입장이 내려오지 않았다"고만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