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세금 7000억원 덜 걷혔다…올해가 진짜 '큰 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ZA.31904268.1.jpg)
30일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국세수입은 395조9000억원이었다. 전년 실적(344조1000억원)과 비교하면 51조9000억원 증가했지만, 지난해 5월 발표한 2차 추경(396조6000억원)과 비교하면 7000억원(-0.2%) 덜 걷혔다. 기재부는 당시 본예산(343조4000억원) 대비 53조3000억원 규모의 초과 세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세수가 덜 걷힐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396조6000억원도 매우 보수적으로 잡은 수치라 세수 부족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자신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지난해 세수는 간신히 펑크를 면한 수준이 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자산시장이 위축되면서 자산세수(양도소득세 및 증권거래세)가 감소했는데, 자산시장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더 빨랐다"고 설명했다. 태풍피해 기업 등에 대해 법인세 납부 이연 등을 지원한 것도 법인세수 감소의 영향 중 하나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는 증권거래세가 2차 추경 대비 1조2000억원(-16.4%) 덜 걷혔다. 양도소득세가 별도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증권거래세 못지 않게 결손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도소득세 감소는 지난해 부동산거래가 급격하게 줄어든 결과로 풀이된다. 증권거래세 역시 주식시장 침체로 거래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종합부동산세도 1조8000억원(-21.1%) 감소했다. 지난해 정부가 일시적 2주택자, 상속주택, 지방저가주택 등에 대한 특례를 적용하는 등 세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을 편 결과로 해석된다. 상속증여세와 개별소비세도 각각 1조3000억원, 8000억원 덜 걷혔다. 법인세 역시 5000억원 가량 줄었다.
더 큰 문제는 올해다. 기재부는 올해 국세수입을 지난해보다 4조1000억원 늘어난 400조5000억원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기대를 밑도는 경우가 많아 법인세수가 불안한 상황이다. 부동산 및 주식 거래세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줄어들 우려가 크다. 기업들이 임금 인상을 억제하면서 소득세가 줄고, 또 그에 따라 소비도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소득세와 법인세, 부가세 등 '빅3' 세수가 모두 불안해질 수 있다.
기재부 입장에서 세수오차율이 -0.2%에 그친 것은 '불행 중 다행'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재부는 2021년 세수 오차가 17.9%나 발생하면서 곤욕을 치렀다. 지난해에도 5월에 세수가 53조3000억원 더 걷힐 것이라는 이유로 추경을 실시했다. 이번에도 세수오차가 크게 났다면 신뢰성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