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수익률 상위 1%의 초고수들이 지난 주말 뉴욕증시에서 정보기술(IT) 대형주들을 대거 사들였다. 특히 ‘어닝 쇼크’로 주가가 급락한 인텔을 가장 많이 사들인 점이 눈에 띈다.
반면 나스닥 지수의 등락을 놓고 베팅하는 3배짜리 레버리지·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는 양쪽 모두 정리했다.
미래에셋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주식을 매매한 수익률이 상위 1% 안에 든 고수들은 지난 2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인텔을 가장 큰 규모로 순매수했다. 인텔은 시장 전망을 밑돈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영향으로 이날 6.41% 급락했지만, 고수들은 반등을 점친 모습이다.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 플랫폼스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A가 각각 고수들의 순매수 규모 2위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두 종목은 인공지능(AI)와 가상현실(VR) 산업의 확장이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 영향으로 주가가 강세를 보였고, 고수들도 시장의 평가에 동의하는 매매동향을 보였다.
고수들의 순매수 규모 5위 안에 든 ETF는 ‘프로ETF 울트라 숏 QQQ(QID)’뿐이었다. 단기적으로 나스닥지수가 강하게 상승한 데 따른 조정을 예상하고 나스닥지수 등락의 2배를 역으로 추종하는 QID를 세 번째로 많이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3배짜리 ETF로 나스닥 지수의 방향성에 대해 베팅할 때가 많았던 것과 비교하면, 신중해졌다.
나스닥 지수의 방향성에 베팅하는 3배짜리 ETF인 ‘프로ETF 울트라 프로 QQQ(TQQQ)’와 ‘프로ETF 울트라프로 숏 QQQ(SQQQ)’는 각각 고수들의 순매도 규모 2위와 3위에 랭크됐다. 양방향 모두 포지션을 정리한 것이다.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등락을 놓고 베팅하는 3배짜리 ETF도 양방향 모두 팔았다. 하락에 베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콘덕더 베어 3X ETF(SOXS)’가 고수들의 순매도 규모 1위였으며, 상승에 베팅하는 ‘데릭시온 데일리 세미콘덕터 불 3X ETF(SOXL)’은 5위였다.
순매도 규모 4위는 테슬라였다. 직전 거래일에 10.97% 급등한 테슬라는 이날도 11%가 올랐다.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와 백악관 관리가 만나 전기차 산업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이었다. 하지만 고수들은 테슬라의 급등에 대해서는 이틀 연속 차익실현으로 대응했다.
지난해 미국 증시가 크게 오르면서 고수익을 거둔 ‘서학개미’가 급증했다. 이에 따라 매년 5월 신고·납부해야 하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배우자 증여를 통해 해외주식 수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를 절감하는 방안이 유행했지만 올해부터는 증여받은 주식을 증여 1년 내 매도하면 양도세 폭탄을 맞을 수 있다. 1년내 팔면 증여한 이의 취득가액 기준 양도세 부과16일 키움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를 이용해 엔비디아를 매수한 투자자의 최대 수익률은 40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 초 엔비디아를 매수한 투자자의 평균 매수단가는 26.87달러다. 지난해 말 엔비디아 종가가 134.29달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초 미국 주식 투자를 시작한 대부분의 투자자는 큰 수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초 엔비디아를 1억원어치 매수했다면 투자 원금 1억원을 제외한 4억원이 평가손익으로 돌아오게 된다. 서학개미 보관금액 상위 종목인 테슬라(74.48%)와 애플(74.08%)도 지난해 70%를 웃도는 수익률을 기록했다.국내 주식과 달리 해외주식은 금액에 관계없이 연간 250만원을 초과하는 양도차익에 대해 22%의 소득세를 내야 한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 투자를 통해 4억원의 수익을 올린 투자자라면 납부해야 할 양도소득세는 수익금 3억9750만원(수익금 4억원-기본 공제 250만원)의 22%인 8745만원(편의상 매매수수료 거래세 등 제외)에 달한다.투자업계에선 △분할 매도 △손익 통산 △가족(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 증여 후 매도 등이 주된 절세 방법으로 꼽힌다. 지난해까지 엔비디아를 5억원(원금 1억원+수익금 4억원)어치 보유한 배우자 A씨가
지난해 거침없이 상승한 미국 증시가 주춤한 틈을 타 중국, 유럽 증시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큰 폭으로 올랐다.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자 그동안 소외된 중국, 유럽 증시로 눈을 돌린 투자자가 많아진 영향이다.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1월 10일~2월 12일)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시장 대표형 ETF 10개는 모두 중국과 유럽 지수에 투자하는 ETF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스닥과 S&P500지수 등 미 증시에 투자한 ETF는 한 개도 순위권에 들지 못했다. 시장 대표형 ETF는 코스피지수와 나스닥지수 등 특정 국가의 대표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뜻한다.수익률 1~6위는 모두 중국 관련 ETF였다. 알리바바, 샤오미 등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에 투자하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차이나항셍25’가 15.8%로 1위를 차지했다. ‘TIGER 차이나HSCEI’(14.8%), ‘1Q 차이나H(H)’(14.67%), ‘RISE 중국MSCI China(H)’(14.36%) 등이 그 뒤를 이었다.유럽 증시에 투자하는 ETF도 순위권에 들었다. 독일 DAX지수를 추종하는 ‘KIWOOM 독일DAX’(9.04%)와 유로스탁스50지수에 투자하는 ‘TIGER 유로스탁스50(합성H)’(8.65%)은 각각 7, 8위에 안착했다.지난 3년여간 하락을 거듭한 중국과 홍콩 증시는 최근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를 등에 업고 상승세를 타고 있다. 중국산 저비용·고효율 AI의 등장이 중국 테크주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샤오미는 지난 7일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알리바바 주가는 올 들어 20% 넘게 뛰었다. ‘이구환신’(낡은 것을 새것으로 바꾼다) 정책 등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도 증시를 견인하는 데 한몫했다.유럽중앙
글로벌 제과업체 허쉬와 몬델리즈 주가가 휘청이고 있다. 초콜릿의 원료로 쓰이는 코코아 가격이 급등해 제조 원가 부담이 늘어난 영향이다.지난 14일 미국 뉴욕 선물거래소에서 코코아 선물 가격은 t당 1만325달러에 마감했다. 지난해 10월 14일 코코아 선물 가격은 t당 7615달러였다. 불과 3개월 새 35.58% 급등했다. 코코아 가격은 2022년 12월 이후 계속 오르고 있다. 지난해 12월 중순에는 1만2000달러대를 뚫으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코코아 가격이 고공행진하자 초콜릿을 주력으로 하는 제과업체 주가가 직격탄을 맞았다. ‘허쉬 초콜릿’ ‘키세스’ 등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초콜릿 브랜드를 다수 보유한 미국의 허쉬가 대표적이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허쉬 주가는 이날 157.88달러를 기록했다. 4개월 만에 186달러이던 주가가 15.11% 떨어졌다. 오레오로 유명한 몬델리즈도 같은 기간 70.53달러에서 60.82달러로 13.76% 하락했다. 몬델리즈는 ‘토블론’ ‘밀카’ 등 인기 초콜릿 제품을 판매한다.코코아 값이 오른 배경은 기후 변화에 있다. 세계 코코아의 절반 이상은 서아프리카의 코트디부아르, 가나에서 생산된다. 최근 이 지역이 엘니뇨로 인한 폭우와 병충해 피해를 당해 코코아 생산량이 급감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에 따르면 2023~2024시즌 코코아 생산량은 438만t으로, 전년 대비 13.1% 줄었다. 서아프리카의 코코아 농가가 대부분 영세한 수준이어서 코코아콩 나무를 새로 심을 여력이 없다는 점도 생산량 감소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코코아 가격은 올해도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코코아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이상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지만, 여전히 5년 평균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