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만 10여명, 與 최고위원 경쟁 '후끈'…친윤 과반 차지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98725.1.jpg)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출마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원내 의원은 총 4명이다. 박성중 이만희 태영호 의원을 비롯해 청년최고위원에 도전하는 지성호 의원 등이다. 원외에서는 김재원 전 최고위원, 정미경 전 최고위원, 장예찬 청년재단 이사장, 김용태 전 최고위원 등이 출마 의지를 밝혔다. 재선 박성중 의원은 30일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을 파국으로 몰고 가는 브레이크 없는 민주당의 폭주 기관차를 멈추기 위해선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 강한 지도부가 필요하다”고 했다.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 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98723.1.jpg)
이중 전북 익산 출신인 조 의원은 호남 확장성을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2021년 전당대회에서 조 의원이 가장 많은 표를 얻어 수석 최고위원이 됐는데, 이는 호남 표를 다 끌어 모은 덕분”이라며 “우리당은 영남권 당원 비율이 가장 높지만, 호남 당원 표도 무시하기 어렵다”고 했다. 허 의원과 정 전 최고위원은 비윤계 후보로 분류된다.
![김용태 전 최고위원(왼쪽), 장예찬 청년재단 이사장(오른쪽). 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98724.1.jpg)
이처럼 경쟁이 치열한 것은 무엇보다 최고위원직이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 좋은 수단이기 때문이다. 최고위원으로 선출되면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과 함께 당 지도부로 활동하게 된다. 한 초선의원은 “당 지도부 일원으로 활동하는 것 자체가 쉽게 할 수 없는 정치적 경험”이라며 “총선을 1년 앞둔 상황에 전국적 인지도 쌓기 가장 좋은 기회일 것”이라고 했다.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498727.1.jpg)
최고위원 선출 결과는 향후 당 운영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개정된 당헌에 따르면 선출 최고위원 5인 중 4인 이상이 사퇴·궐위 시 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구성된 최고위원 성격에 따라 언제든 당대표를 몰아 내고 비대위를 출범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친윤계에선 최소 4명의 최고위원 선출을 목표로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