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선임에 금융지주 회장 입김…'장기 집권' 길 터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現회장이 사외이사 선임 영향력
그들은 다시 회장 추천하는 구조
이사회는 구성원 '셀프추천'까지
견제 사라지며 '연임 도구'로 전락
그들은 다시 회장 추천하는 구조
이사회는 구성원 '셀프추천'까지
견제 사라지며 '연임 도구'로 전락
뚜렷한 대주주가 없어 ‘주인 없는 회사’로 불리는 금융지주사와 포스코, KT 등의 최고경영자(CEO)는 사외이사들이 뽑는다. 회사마다 ‘OOO후보추천위원회’로 이름만 다를 뿐 사외이사가 후보를 발굴하고 평가를 거쳐 CEO를 선정한다는 점은 비슷하다. 문제는 금융지주사의 경우 현재 CEO가 차기 CEO 후보를 정하는 권한을 쥔 사외이사들을 선임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34명의 지난해 3분기까지 주요 안건(30건) 찬성률은 96.7%에 달했다. 반대표는 변양호 전 신한금융 사외이사가 던진 한 건뿐이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가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외이사 선임 방식도 논란거리다. 사외이사들로 꾸려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후보를 천거하는 ‘셀프 추천’ 방식이어서다. 현 경영진이 이사회 사무국을 통해 사외이사 후보 추천 단계에 개입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다. 해당 사업 분야의 전문성이 없더라도 퇴직한 고위 공직자와 법조인, 교수 등 사회 명망가는 누구나 사외이사를 맡을 수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2001년 금융지주가 출범한 이후 4대 금융지주 회장 가운데 연임에 실패한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다. 라응찬 신한금융 초대 회장(4연임)과 김정태 전 하나금융 회장(4연임)은 10년 가까이 회장을 지냈다. 한 전직 금융지주 사외이사는 “회장의 영향력 아래 사외이사가 추천되고, 그 사외이사들이 다시 회장 선임을 결정한다”며 “금융지주는 회장부터 사외이사까지 모두 ‘셀프 연임’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금융지주 회장은 처음 되기가 어렵지 한 번 되면 10년은 간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도는 것도 이 때문이다.
KT와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CEO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퇴임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2002년 민영화 이후 KT의 수장 가운데 초대 이용경 사장을 제외한 네 명 중 두 명은 연임을 시도하다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물러났다.
2000년 민영화된 포스코도 최정우 회장 이전 수장 8명 가운데 임기를 채우고 퇴임한 CEO는 한 명도 없다. 전임 권오준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11개월 만인 2018년 4월 임기를 2년 남기고 돌연 사퇴했다. 당시 권 전 회장은 문 대통령 해외 방문 경제사절단에서 번번이 제외됐다.
김보형/이상은/김재후 기자 kph21c@hankyung.com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34명의 지난해 3분기까지 주요 안건(30건) 찬성률은 96.7%에 달했다. 반대표는 변양호 전 신한금융 사외이사가 던진 한 건뿐이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가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외이사 선임 방식도 논란거리다. 사외이사들로 꾸려진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후보를 천거하는 ‘셀프 추천’ 방식이어서다. 현 경영진이 이사회 사무국을 통해 사외이사 후보 추천 단계에 개입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다. 해당 사업 분야의 전문성이 없더라도 퇴직한 고위 공직자와 법조인, 교수 등 사회 명망가는 누구나 사외이사를 맡을 수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2001년 금융지주가 출범한 이후 4대 금융지주 회장 가운데 연임에 실패한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다. 라응찬 신한금융 초대 회장(4연임)과 김정태 전 하나금융 회장(4연임)은 10년 가까이 회장을 지냈다. 한 전직 금융지주 사외이사는 “회장의 영향력 아래 사외이사가 추천되고, 그 사외이사들이 다시 회장 선임을 결정한다”며 “금융지주는 회장부터 사외이사까지 모두 ‘셀프 연임’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금융지주 회장은 처음 되기가 어렵지 한 번 되면 10년은 간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도는 것도 이 때문이다.
KT와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CEO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 퇴임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2002년 민영화 이후 KT의 수장 가운데 초대 이용경 사장을 제외한 네 명 중 두 명은 연임을 시도하다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물러났다.
2000년 민영화된 포스코도 최정우 회장 이전 수장 8명 가운데 임기를 채우고 퇴임한 CEO는 한 명도 없다. 전임 권오준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11개월 만인 2018년 4월 임기를 2년 남기고 돌연 사퇴했다. 당시 권 전 회장은 문 대통령 해외 방문 경제사절단에서 번번이 제외됐다.
김보형/이상은/김재후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