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첫 5성급 호텔 유치 나섰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9년 한·아세안정상회의
특급호텔 없어 부산에 뺏겨"
4성급 420여개 객실 불과
국가 정상급 행사 '언감생심'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에
최고급 호텔 건립 목표
쉐라톤·하얏트 등 물망 올라
특급호텔 없어 부산에 뺏겨"
4성급 420여개 객실 불과
국가 정상급 행사 '언감생심'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에
최고급 호텔 건립 목표
쉐라톤·하얏트 등 물망 올라

1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옛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에 조성할 계획인 ‘챔피언스시티’(가칭)에 최고급 특급 호텔을 건립하기로 하고 사업 제안자 측과 논의에 들어갔다.
광주시는 그동안 특급 호텔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도 유치에 잇달아 실패했다. 현재 국제 행사를 치를 만한 호텔이라고는 4성급 호텔 세 곳으로, 객실은 420여 개에 불과하다.
광주시는 개최가 유력했던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정부 사전 실사 과정에서 특급 호텔 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부산에 빼앗긴 경험이 있다. 2019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치르면서도 특급 호텔이 없어 손님맞이에 애를 먹었다. 2015년과 2017년 광주신세계가 특급 호텔 건립을 포함해 복합쇼핑 시설을 짓겠다고 나섰지만, 시민단체 등의 반대를 이유로 시가 계획을 철회한 뒤 국가 정상 등이 참여하는 국제행사는 여전히 ‘언감생심’이다.
호텔업계는 더현대 광주가 챔피언스시티에 입점하는 만큼 롯데와 신세계 등 다른 유통 대기업 계열의 호텔 체인 유치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을 제외하면 하얏트, 쉐라톤, 힐튼 등의 브랜드가 광주에 올 것이란 전망이다. 수도권을 제외하면 수익성이 낮은 특급 호텔의 영업 상황을 감안해 광주시가 선제적으로 보상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역 관광업계 관계자는 “특급 호텔 운영은 수익성과 서비스 유지 측면에서 대기업도 버거워 할 만큼 어렵다”며 “광주에 특급 호텔을 지으려면 시가 투자자에게만 유치 업무를 맡길 것이 아니라 마이스(MICE)산업 확대 등 일종의 지원책이 꼭 필요하다”고 했다.
광주=임동률 기자 exi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