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국방 및 첨단산업 분야에서 인도와 손을 잡았다. 인도와의 협력을 강화해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31일(현지시간)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방 및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핵심 첨단기술 구상(iCET)을 체결했다. 지난해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일본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iCET 출범을 약속한 바 있다.

이번 합의에는 미 방산업체인 제너럴일렉트릭(GE)이 인도와 제트엔진을 공동 개발하고 국방 우주 분야에서 공조에 나서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미국은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인도 반도체 제조사들과 협력을 늘리기로 했다. 5세대(5G) 무선 통신망과 양자 컴퓨팅, 인공지능(AI) 분야 등에서 협력 사업도 진행한다.

설리번 보좌관은 인도와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는 이유로 중국을 언급했다. 그는 “군사적으로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공급망을 통제하려는 중국 모습이 인도 정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외신들은 미국과 인도의 이해관계가 서로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반도체, 통신 부품 등에 대한 미국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것을 우려해왔다. 인도는 첨단기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는) 공급망 다각화에 나서고 있는 애플, 삼성 등이 자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를 원한다”고 했다.

중국과의 국경 분쟁 이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 것도 미국과 손잡는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인도와 중국의 국경 지역에서 긴장이 높아지며 협력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고 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를 동맹으로 끌어들이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 일본, 호주, 인도 4개국의 중국 견제 협의체인 쿼드(Quad) 역할을 확대하는 동시에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에 인도를 참여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