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中 회복해도 수혜 불확실"…신현송 "올 환율 안정적일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상의 세미나서 '韓 경제 방향·전망' 대담
이창용 "韓 반사이익 미지수"
中 경제, 올해 5% 넘게 성장할 듯
관광 늘면 경상수지 도움되지만
유가 높아지는 리스크도 고려
신현송 "강달러, 수출에 악영향"
기업, 달러 약세때 자금조달 수월
오히려 교역량 늘어나 수출 증가
이창용 "韓 반사이익 미지수"
中 경제, 올해 5% 넘게 성장할 듯
관광 늘면 경상수지 도움되지만
유가 높아지는 리스크도 고려
신현송 "강달러, 수출에 악영향"
기업, 달러 약세때 자금조달 수월
오히려 교역량 늘어나 수출 증가
“중국 경제가 기술적 반등에 머물면 한국이 반사효과(이익)를 얻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글로벌 달러 강세(원·달러 환율은 상승)는 한국 수출에 악영향을 준다.”(신현송 국제결제은행 경제보좌관 겸 조사국장)
이창용 총재와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국장이 1일 올해 한국 경제의 방향과 전망을 주제로 대담했다.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회 한은·대한상의 세미나에서다.
신 국장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수그러든다면 (미 중앙은행이) 추가로 금융 긴축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그렇게 되면 지난해 10월을 기점으로 정점을 찍은 달러(강세)가 어느 정도 안정되는 상황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와 신 국장 모두 중국 경제가 올해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한국이 중국 경제 회복으로 반사이익을 볼지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중국 여행객이 한국에 와서 경상수지 흑자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도 “중국 경제가 지난해 나빴던 것에 대한 기술적 반등을 넘어 얼마나 회복될지, 그 혜택을 우리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는 걱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성장이 유가를 올리는 쪽으로 가는 리스크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신 국장은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최종 소비재만 혜택을 받을 것”이라며 “한·중 무역 관계는 중간재 수출입이 많기 때문에 중국보다 세계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느냐가 (한국 경제에)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 국장은 유럽 경제에 대해선 “지난해 중반까지만 해도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보였다”며 “지금은 달러 가치와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면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온다”고 했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선 “고용시장이 균형을 찾고 어느 정도 경기를 가라앉힐 수 있다면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유럽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낮게 본 것이다.
자국 통화의 가치가 절하되면 수출이 늘어난다는 게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글로벌 가치 사슬 내에서는 달러 조달 여건이 호전됐을 때, 즉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일 때 기업의 운전자금 조달도 쉬워져 교역량이 늘어난다는 게 신 국장의 설명이다.
이 총재는 “기계적으로 생각하지 말자는 접근이 신 박사님(신 국장)의 큰 공헌”이라고 했다. 미·중 갈등으로 부각되는 세계 경제의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대해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세적인 흐름으로, 최근 정치적 갈등 때문만은 아니다”고 했다.
신 국장은 2008년 미국발(發) 금융위기를 예견해 명성을 얻은 세계적인 석학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을 지낸 이 총재와는 국제금융기구에서 일한 점과 이명박 정부 시절 고위 관료를 지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신 국장은 이 총재와 함께 윤석열 정부 출범 전 한은 총재 후보에 거론되기도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글로벌 달러 강세(원·달러 환율은 상승)는 한국 수출에 악영향을 준다.”(신현송 국제결제은행 경제보좌관 겸 조사국장)
이창용 총재와 신현송 국제결제은행(BIS) 국장이 1일 올해 한국 경제의 방향과 전망을 주제로 대담했다.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회 한은·대한상의 세미나에서다.
환율 어떻게 될까
이 총재와 신 국장은 올해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와 달리 안정적일 것으로 봤다. 이 총재는 “현재 상황에서 물가 예측치에 변동이 없는 한 환율은 안정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신 국장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수그러든다면 (미 중앙은행이) 추가로 금융 긴축을 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그렇게 되면 지난해 10월을 기점으로 정점을 찍은 달러(강세)가 어느 정도 안정되는 상황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와 신 국장 모두 중국 경제가 올해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한국이 중국 경제 회복으로 반사이익을 볼지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중국 여행객이 한국에 와서 경상수지 흑자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도 “중국 경제가 지난해 나빴던 것에 대한 기술적 반등을 넘어 얼마나 회복될지, 그 혜택을 우리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는 걱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성장이 유가를 올리는 쪽으로 가는 리스크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신 국장은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최종 소비재만 혜택을 받을 것”이라며 “한·중 무역 관계는 중간재 수출입이 많기 때문에 중국보다 세계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느냐가 (한국 경제에)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국 의존도 낮춰야 하나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할지에 대해선 이 총재와 신 국장의 의견이 다소 엇갈렸다. 신 국장은 “한국 기업들 입장에서 몇몇 전략적 업종 외에 미·중 갈등이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의문이 있을 수 있다”며 “미·중 마찰이 있다고 해도 미국과 중국 모두 관계를 유지하는 한국은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중국에서 임금이 오르고 경쟁이 심해져 한국으로선 지난 20년간 누렸던 특수를 누리기 어려워진 측면이 있다”며 “중국 의존도를 바꿔야 하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신 국장은 유럽 경제에 대해선 “지난해 중반까지만 해도 상황이 녹록지 않아 보였다”며 “지금은 달러 가치와 원자재 가격이 안정되면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온다”고 했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선 “고용시장이 균형을 찾고 어느 정도 경기를 가라앉힐 수 있다면 연착륙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미국과 유럽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을 낮게 본 것이다.
“달러 약세 때 수출 늘어”
대담에 앞서 신 국장은 ‘세계 경제와 국제무역의 전망’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달러 가치와 (글로벌) 수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달러가 약세를 나타냈을 때 금융 여건이 개선돼 수출이 오히려 성장했다”고 했다.자국 통화의 가치가 절하되면 수출이 늘어난다는 게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글로벌 가치 사슬 내에서는 달러 조달 여건이 호전됐을 때, 즉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일 때 기업의 운전자금 조달도 쉬워져 교역량이 늘어난다는 게 신 국장의 설명이다.
이 총재는 “기계적으로 생각하지 말자는 접근이 신 박사님(신 국장)의 큰 공헌”이라고 했다. 미·중 갈등으로 부각되는 세계 경제의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대해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추세적인 흐름으로, 최근 정치적 갈등 때문만은 아니다”고 했다.
신 국장은 2008년 미국발(發) 금융위기를 예견해 명성을 얻은 세계적인 석학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을 지낸 이 총재와는 국제금융기구에서 일한 점과 이명박 정부 시절 고위 관료를 지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신 국장은 이 총재와 함께 윤석열 정부 출범 전 한은 총재 후보에 거론되기도 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