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왜 마스크 계속 쓰나…NYT가 분석한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마스크 의무화 규정을 완화했음에도 많은 사람이 한동안 마스크를 계속 쓰고 다닐 것이라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분석했다.
1일(현지시간) NYT는 마스크 착용이 습관이 돼 바꾸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과 보건 당국이 여전히 착용을 권유한다는 점, 마스크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로 여겨진다는 점, 미세먼지 등 공해에 대한 마스크의 보호 효과 등을 근거로 들어 이같이 전망했다.
NYT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2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으로 코로나 전부터 마스크 착용이 습관화돼있었다"며 "팬데믹 2년간 마스크 착용이 바꾸기 어려운 습관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에서는 마스크를 쓰면 화장하거나 미소 등 표정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편리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NYT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등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여전히 의무 사항"이라며 "한국 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엄격하게 요구하지는 않지만, 착용을 계속 권장한다는 점도 마스크를 계속 쓰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NYT는 독감과 계절성 알레르기 같은 호흡기 질환을 피하려는 것도 사람들이 계속 마스크를 쓰는 이유라고 봤다.
이에 "아시아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게 다른 사람의 안녕을 배려하는 좋은 에티켓으로 여겨진다"면서 "또한 아시아 대기의 미세먼지 오염이 심각하다 보니,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 마스크를 쓰는 데 이미 익숙해져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등을 제외한 장소에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1일(현지시간) NYT는 마스크 착용이 습관이 돼 바꾸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과 보건 당국이 여전히 착용을 권유한다는 점, 마스크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로 여겨진다는 점, 미세먼지 등 공해에 대한 마스크의 보호 효과 등을 근거로 들어 이같이 전망했다.
NYT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2012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으로 코로나 전부터 마스크 착용이 습관화돼있었다"며 "팬데믹 2년간 마스크 착용이 바꾸기 어려운 습관이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에서는 마스크를 쓰면 화장하거나 미소 등 표정 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편리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NYT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등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여전히 의무 사항"이라며 "한국 정부가 마스크 착용을 엄격하게 요구하지는 않지만, 착용을 계속 권장한다는 점도 마스크를 계속 쓰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NYT는 독감과 계절성 알레르기 같은 호흡기 질환을 피하려는 것도 사람들이 계속 마스크를 쓰는 이유라고 봤다.
이에 "아시아에서는 마스크를 쓰는 게 다른 사람의 안녕을 배려하는 좋은 에티켓으로 여겨진다"면서 "또한 아시아 대기의 미세먼지 오염이 심각하다 보니,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 마스크를 쓰는 데 이미 익숙해져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30일부터 의료기관, 감염취약시설, 대중교통 등을 제외한 장소에선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권고'로 전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