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 이동통신' 누가 나올까…롯데·쿠팡·네이버 등 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기존 이동통신 3사에 배정했던 28㎓ 주파수를 회수해 ‘제4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주겠다고 밝히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 누가 후보로 나설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접촉하며 제4 이동통신 참여 의사를 확인하는 중이다. 정부는 새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28㎓ 망을 최소 3년간 독점 공급하고 할당 대가도 종전보다 늦게 받기로 하는 등 줄 수 있는 ‘당근’은 모두 준비하겠다며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3.5㎓ 등 전국망은 알뜰폰 사업자처럼 기존 3사에서 빌려 쓰고, 주요 지역에 100~300개의 28㎓ 기지국을 추가 설치해서 6세대 통신(6G)으로 가기 위한 실험적인 서비스를 시도해 보기만 하면 된다는 게 정부의 제안이다.
가장 유력하게 꼽히는 후보는 쿠팡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다. 특히 쿠팡은 동영상 서비스(OTT) 쿠팡플레이를 초고화질로 제공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늘 첫손에 꼽히는 후보다. 전국 30여곳에 보유한 대규모 물류센터를 28㎓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경기 판교 정자동 본사 사옥을 ‘이음5G’를 활용해 스마트 오피스로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도 정부의 러브콜을 받는 대상이다.
IT 분야로 보폭을 넓히고 있는 롯데그룹도 유력 후보군 중 하나로 꼽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계열사 롯데정보통신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회사 칼리버스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롯데월드·백화점·충전기 시설 등 기지국 구축을 위한 여건이 마련돼 있어 검토해 볼 만 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같은 이유로 대형 쇼핑몰을 다수 보유한 신세계그룹 등도 거론된다. KB금융과 신한금융처럼 알뜰폰 사업에 뛰어든 금융사들이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국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신청한 위성통신업체 스타링크 등 해외 사업자들이 국내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다만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은 모두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요건을 맞추려면 최소 3000억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그 이상의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한 번 투자하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등의 책임이 발생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것이 내부적인 판단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28㎓는 직진성이 너무 강해 기지국을 낮게, 많이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지나가기만 해도 통신이 방해될 정도로 회절성이 떨어진다”며 “28㎓를 쓸 수 있는 단말기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 말만 믿고 시작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말했다.
2010년대부터 정부는 무려 7차례에 걸쳐 제4 이동통신 후보를 물색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중소기업 중심의 컨소시엄이 꾸려지기도 했지만 실제 사업 역량을 가진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가 종전과 달리 적은 투자금으로 상징적인 수준에서 사업을 시작해도 된다고 허용한 만큼 이번엔 다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접촉하며 제4 이동통신 참여 의사를 확인하는 중이다. 정부는 새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28㎓ 망을 최소 3년간 독점 공급하고 할당 대가도 종전보다 늦게 받기로 하는 등 줄 수 있는 ‘당근’은 모두 준비하겠다며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3.5㎓ 등 전국망은 알뜰폰 사업자처럼 기존 3사에서 빌려 쓰고, 주요 지역에 100~300개의 28㎓ 기지국을 추가 설치해서 6세대 통신(6G)으로 가기 위한 실험적인 서비스를 시도해 보기만 하면 된다는 게 정부의 제안이다.
가장 유력하게 꼽히는 후보는 쿠팡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다. 특히 쿠팡은 동영상 서비스(OTT) 쿠팡플레이를 초고화질로 제공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늘 첫손에 꼽히는 후보다. 전국 30여곳에 보유한 대규모 물류센터를 28㎓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경기 판교 정자동 본사 사옥을 ‘이음5G’를 활용해 스마트 오피스로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도 정부의 러브콜을 받는 대상이다.
IT 분야로 보폭을 넓히고 있는 롯데그룹도 유력 후보군 중 하나로 꼽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계열사 롯데정보통신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회사 칼리버스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롯데월드·백화점·충전기 시설 등 기지국 구축을 위한 여건이 마련돼 있어 검토해 볼 만 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같은 이유로 대형 쇼핑몰을 다수 보유한 신세계그룹 등도 거론된다. KB금융과 신한금융처럼 알뜰폰 사업에 뛰어든 금융사들이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국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신청한 위성통신업체 스타링크 등 해외 사업자들이 국내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다만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은 모두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요건을 맞추려면 최소 3000억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그 이상의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한 번 투자하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등의 책임이 발생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것이 내부적인 판단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28㎓는 직진성이 너무 강해 기지국을 낮게, 많이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지나가기만 해도 통신이 방해될 정도로 회절성이 떨어진다”며 “28㎓를 쓸 수 있는 단말기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 말만 믿고 시작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말했다.
2010년대부터 정부는 무려 7차례에 걸쳐 제4 이동통신 후보를 물색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중소기업 중심의 컨소시엄이 꾸려지기도 했지만 실제 사업 역량을 가진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가 종전과 달리 적은 투자금으로 상징적인 수준에서 사업을 시작해도 된다고 허용한 만큼 이번엔 다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