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장 칼럼] 어느 공대 교수의 '뜨거운' 질문
추위가 맹위를 떨치던 1월 어느 날, 청년기 가득한 서울대 공대 교수와 저녁을 함께했다. 36세 대구 사투리를 정겹게 구사하는 그가 고민을 털어놨다. “의사 하겠다는 학생을 간신히 말렸어요.”

위로와 공감의 말을 꺼내려는데 얼굴이 의외로 밝았다.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해본 적이 있냐고 했습니다. 한참 고민하더니 남겠다고 하더군요.”

‘서울대’라는 단어에 대한 반응은 극과 극을 오간다. 선망의 대상일 때도 있겠으나 변하지 않는 낡음과 고루한 특권의 온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동안의 평가는 후자에 더 가까웠다. 하지만 최근 서울대에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공대의 혁신에 이목이 쏠린다.

서울대 공대의 혁신

홍유석 교수가 지난해 공대 학장에 뽑힌 것 자체가 증거다. 그는 1946년 출범한 서울대 공대 역사상 최초의 산업공학과 출신 학장이다. 대우그룹에 입사해 연구자로 변신한 사례다. “기업과 대학 간 인적 융합이 한국의 미래”라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홍 학장 취임 이후 서울대 공대는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서울대 창립 이후 처음으로 현직 교수(최장욱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미국의 차세대 배터리 개발 기업인 SES의 사외이사로 선임된 일이 작년 가을께 있었다. 홍 학장은 “해외 기업 사외이사는 선례가 없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이들을 설득하는 데 앞장섰다.

올해 입시부터 적용한 공대 광역 모집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공 없이 입학해 1학기 뒤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홍 학장은 “학부 정원이라는 성역을 처음 깨트린 시도”라며 “견고한 장벽을 깨고, 사회가 요구하는 분야에 더 많은 인재를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서울대 공대가 얼마나 빨리 변하고 있는지는 신규 임용 교수 면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3월 1일자로 임용 예정인 17명의 교수 중 16명이 조교수·부교수 등 ‘3040 세대’다. 이들 중에는 인텔(인공지능), 메타(컴퓨터 그래픽스) 등 미국 대기업에서 연구자로 활약하던 이도 여럿 있다.

젊은 교수들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서울대 공대가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방파제다. 올해 신규 임용자 중엔 의용생체공학, 로봇지능 등 이름조차 생소한 분야가 수두룩하다.

‘미네소타 프로젝트’의 부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대 공대는 총 167명을 신규 임용했다. 이들 중 임용 당시 나이가 30~44세인 교수는 96명(57%)이다. 고승환 서울대 공대 연구부학장은 “해외 유학 갔던 인재들이 국내 대학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한국에 기회가 더 많다고 생각하는 젊은 교원이 많다”고 했다.

‘한강의 기적’을 가능케 한 핵심은 인재다. 1955~1962년 ‘미네소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미국으로 건너간 서울대 교수 218명은 전쟁의 잿더미에서 한국을 재건하는 데 밑거름이 됐다. 이때 도미한 교수 대부분은 조교수 이하의 30대였다.

무역수지가 작년 3월 이후 11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성장의 시대는 끝났다는 말이 나온다. 난관을 뚫기 위해선 다시 ‘인재’로 돌아가야 한다. 서울대 공대의 혁신에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