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미국 의회에서 연설하나…12년만에 '국빈 방문'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외교장관, 정상회담 형식·일정 논의
4월 국빈방문 시 한국 대통령 역대 7번째
바이든 정부 佛 마크롱 이후 두 번째 국빈
국빈 오·만찬, 전용 숙소, 환영식 등 제공
4월 국빈방문 시 한국 대통령 역대 7번째
바이든 정부 佛 마크롱 이후 두 번째 국빈
국빈 오·만찬, 전용 숙소, 환영식 등 제공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한국경제신문에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 진행 중"이라며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이 성사된다면 2011년 이명박 전 대통령 방미 이후 12년만이다. 우리 정상의 미국 국빈 방문은 이승만(1954년)·박정희(1965년)·노태우(1991년)·김영삼(1995년)김대중(1998년)·이명박(2011년) 전 대통령 등 6차례 있었다.
바이든 행정부가 해외 정상을 국빈으로 초청하는 것은 두 번째다.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래 지난해까지 코로나19 확산 등의 여파로 국빈 초청을 하지 못하던 중 지난해 말 엠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처음으로 국빈으로 초청했다.
국빈 방문이 이뤄질 경우 초청국이 공식 환영식과 국빈 만찬 등을 준비해 방문국 정상을 맞는다.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 앞에서 윤 대통령을 직접 영접하고 21발의 예포가 발사된다. 국빈 전용 숙소로는 백악관 맞은편의 블레어하우스(Blair House)를 제공한다.
방문국 정상은 초청국 의회에서 공식 연설을 하는 게 관례다. 이에 이 전 대통령은 2011년 미 의회에서 45분 간 공식 연설을 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