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례비 600만원 도 넘은 요구"…건설노조 불법 뿌리 뽑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건설인 1000여명 모여 결의서
"노조 불법행위 손해배상제 제도화"
"노조 불법행위 손해배상제 제도화"
![6일 전국 건설인 1000여명이 모여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 총궐기대회'를 열었다./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556617.1.jpg)
건설노조의 불법행위가 도를 넘어서면서 건설산업 기반 자체를 무너뜨린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가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건설업계 총궐기대회'를 열고 건설인 1000여명이 한목소리를 낸 배경이다.
총궐기대회에 참가한 한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노조의 불법행위는 단순 이권 투쟁을 넘어 국가 경제와 국민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며 "그로 인한 피해는 결국 분양가 상승, 입주 지연, 안전 위협 등으로 이어져 국민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돌아간다"고 말했다.
![6일 건설인 1000여명이 모여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 총궐기대회'를 열었다./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556626.1.jpg)
예컨대 B건설노조는 3000가구 아파트 공사 착수 전 자기조합원 채용을 강요하면서 이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보복하겠다고 협박했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건설노조는 현장 입구를 봉쇄했다. 작업을 방해하면서 현장 직원을 협박하는 등 폭력행사로 대응했다.
건설업계에선 공사 물량 할당과 업체 선정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권 카르텔이 노골화되고 있어 그 수위가 도를 넘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상수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 회장은 "건설노조 불법행위를 뿌리뽑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불법행위를 저지른 노조원 개인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라며 "배상금을 받아 낼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노조 불법행위로 공사 기간이 늘어나면서 공사 기간을 만회하기 위해 무리한 작업이 유발된다"며 "안전사고의 주범이 된 경우에는 근로자 과실만큼 상계해 사업주 책임을 묻는 것이 합리적이다"고 덧붙였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건설인 1000여명은 건설노조 불법행위를 신고하고 조사하는데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결의서'를 내고 국회와 정부에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