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마진 늘려 배불린 은행들…작년 이자수익만 33조 '역대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출금리 '빨리' 예금은 '늦게'
하나금융, 순익 3.6조 사상최대
4대銀 이자이익 20% 넘게 증가
금융지주 4곳, 순익 16조 달해
최근 예대금리차 확대 비판에
지주사 "배당 늘릴 것" 달래기
하나금융, 순익 3.6조 사상최대
4대銀 이자이익 20% 넘게 증가
금융지주 4곳, 순익 16조 달해
최근 예대금리차 확대 비판에
지주사 "배당 늘릴 것" 달래기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이 지난해 33조원 가까운 이자이익을 거뒀다. 이자이익이 전년보다 20% 넘게 늘면서 모기업인 4대 금융지주도 16조원 가까운 역대 최대 순이익을 올렸다. 은행들이 금리 상승기에 대출금리는 빠르게 올리면서 예금금리는 더디게 인상해 예대마진을 늘려 이익을 챙겼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은행권의 배만 불렸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자이익이 전년보다 20%(1조4826억원) 늘어난 8조9198억원에 달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금리 인상 효과로 하나금융과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1.96%와 1.74%로 전년 대비 0.25%포인트와 0.27%포인트 높아졌다. 수수료 이익 등 비이자 이익은 1조7445억원으로 전년보다 6.4%(1189억원) 줄었다.
주력사인 하나은행은 ‘리딩뱅크(1등 순이익 은행)’에 올랐다.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익은 전년보다 23.3%(5988억원) 증가한 3조1692억원에 달했다. 신한은행(3조450억원) 국민은행(2조9960억원) 우리은행(2조9198억원)보다 많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기업금융과 외국환, 자산관리 등 은행의 핵심 사업역량이 시너지를 내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을 발표했다. 결산 배당금은 주당 3350원(중간배당 800원 포함)으로 결정했다. 배당성향(순이익 중 배당으로 지급하는 금액)은 27%다. 연내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이자이익이 급증한 것은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7회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1.00%에서 연 3.25%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여파로 한은이 집계하는 잔액 기준 은행 예대금리차는 2021년 12월 2.21%포인트에서 작년 12월엔 2.55%포인트로 커졌다. 하지만 은행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빨리 올리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4대 은행의 ‘이자 잔치’로 모기업인 KB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금융지주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4대 금융지주의 작년 합계 순이익은 15조8506억원으로 이전 최대였던 2021년(14조5429억원)보다 8.9%(1조3077억원) 증가했다.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4대 금융지주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해졌다. KB금융 전체 순이익에서 국민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58.8%에서 작년 67.9%로 높아졌다. 신한금융도 같은 기간 은행 순이익 비중이 62.1%에서 65.6%로 올라갔다. 하나금융(87.4%)과 우리금융(83.9%)도 은행 의존도가 커졌다.
김보형/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
○하나은행 순이익 1위 차지
하나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3조6257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전년(3조5261억원)보다 2.8%(996억원)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이자이익이 전년보다 20%(1조4826억원) 늘어난 8조9198억원에 달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금리 인상 효과로 하나금융과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1.96%와 1.74%로 전년 대비 0.25%포인트와 0.27%포인트 높아졌다. 수수료 이익 등 비이자 이익은 1조7445억원으로 전년보다 6.4%(1189억원) 줄었다.
주력사인 하나은행은 ‘리딩뱅크(1등 순이익 은행)’에 올랐다. 하나은행의 작년 순이익은 전년보다 23.3%(5988억원) 증가한 3조1692억원에 달했다. 신한은행(3조450억원) 국민은행(2조9960억원) 우리은행(2조9198억원)보다 많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기업금융과 외국환, 자산관리 등 은행의 핵심 사업역량이 시너지를 내면서 실적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배당 확대와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책을 발표했다. 결산 배당금은 주당 3350원(중간배당 800원 포함)으로 결정했다. 배당성향(순이익 중 배당으로 지급하는 금액)은 27%다. 연내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금리 오르자 이자수익 ‘껑충’
4대 은행의 작년 합계 이자이익은 32조79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전까지 사상 최대였던 2021년(27조905억원)보다 21.1%(5조7044억원)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이자이익이 1년 전보다 20.2% 늘어난 9조291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 8조2052억원(24.1%), 하나은행 7조6087억원(23.7%), 우리은행 7조4177억원(25.3%) 순이었다.이자이익이 급증한 것은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차이)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7회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1.00%에서 연 3.25%로 끌어올렸다. 이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여파로 한은이 집계하는 잔액 기준 은행 예대금리차는 2021년 12월 2.21%포인트에서 작년 12월엔 2.55%포인트로 커졌다. 하지만 은행이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를 빨리 올리면서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4대 은행의 ‘이자 잔치’로 모기업인 KB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금융지주도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4대 금융지주의 작년 합계 순이익은 15조8506억원으로 이전 최대였던 2021년(14조5429억원)보다 8.9%(1조3077억원) 증가했다.
비은행 사업 확대로 수익을 다각화하겠다던 4대 금융지주의 은행 의존도는 오히려 심해졌다. KB금융 전체 순이익에서 국민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58.8%에서 작년 67.9%로 높아졌다. 신한금융도 같은 기간 은행 순이익 비중이 62.1%에서 65.6%로 올라갔다. 하나금융(87.4%)과 우리금융(83.9%)도 은행 의존도가 커졌다.
김보형/이소현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