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도 바이 아메리칸"… 韓 수출기업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8년간 2800조원 투자
광케이블 年 2천억~3천억 수출
LS전선·대한광통신 등 대응 논의
HD현대 건설장비 계열사도 고심
'쿼터제' 철강업계는 큰 영향 없어
광케이블 年 2천억~3천억 수출
LS전선·대한광통신 등 대응 논의
HD현대 건설장비 계열사도 고심
'쿼터제' 철강업계는 큰 영향 없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바이 아메리칸(미국산 제품 구매)’ 방침을 내놓자 한국 기업들이 이해득실을 따지고 나섰다. 미국이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에 대해서도 미국산(産) 제품만 사용하도록 할 경우 국내 건설장비·전선 회사들이 타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글로벌 해저케이블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58조원에서 2027년 150조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이 중 미국에서의 사업 기회가 상당하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한 전선업체 관계자는 “미국은 해상풍력발전을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미래 핵심 공략처”라며 “영업하지 못하게 될까봐 걱정이 크다”고 했다.
미국 연방정부의 인프라 투자 때 필요한 건설장비의 경우 두산밥캣은 미국에 공장이 있지만,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등은 한국에만 공장이 있어 고민이 크다. 지난해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북미지역 매출은 3억9700만달러, 현대건설기계는 5억8000만달러였다. 모두 한국에서 제작해 미국으로 수출했다. 두 회사를 거느리고 있는 HD현대그룹 관계자는 “구체적인 정책 기준에 따라 회사 대응 방향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수출이 210억달러에 달했던 원전과 발전장비도 아직 미국의 추가 투자 계획이 없고, 있더라도 대부분 미국 회사인 GE가 수주하고 있어 영향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터빈 등 일부 발전장비의 경우에는 다른 업체도 미국에 공장이 없어 수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일부 기업은 미국 현지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LS, 대한전선 등은 미국에 생산법인을 설립하거나 확대, 운영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후/정지은 기자 hu@hankyung.com
“미국 인프라 투자에 미국산만 사용”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7일 미국 연방의회 하원 연두교서(국정연설)에서 “바이 아메리칸 정책을 대폭 강화하겠다”며 “연방 인프라 프로젝트의 모든 건설자재 등을 미국에서 만들도록 요구하는 기준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백악관은 따로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도로, 교량 건설뿐만 아니라 수도 인프라와 초고속 인터넷 설치 등 연방 재정을 통해 지원되는 모든 인프라 지출에 (바이 아메리칸 원칙이) 적용될 것”이라며 “구리와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광섬유 케이블, 목재, 석고보드 등도 모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에 대해 앞으론 미국에서 만든 제품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미국 연방정부는 8년간 2조2500억달러(약 2836조원)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밝혔다. 미국 연방정부의 제품 구매·조달 시장은 6000억달러(약 756조원)에 달한다. 미국 연방정부 조달시장만 해도 한국 정부의 올해 예산(639조원)을 웃돈다.韓 건설장비·케이블 기업 타격 우려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을 놓고 보면 철도, 건설장비, 발전소, 철강, 케이블 관련 국내 회사들이 영향을 받는다. 이 중에서도 특히 건설장비와 케이블 회사들의 타격이 우려된다. 미국에 연간 2000억~3000억원가량 광케이블을 수출하는 LS전선, 대한광통신, 가온전선, 머큐리 등 한국 전선회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해상풍력발전과 관련해 해저케이블 시장 확대를 기대해 온 이들 회사는 비상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글로벌 해저케이블 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58조원에서 2027년 150조원으로 커질 전망이다. 이 중 미국에서의 사업 기회가 상당하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한 전선업체 관계자는 “미국은 해상풍력발전을 중심으로 인프라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미래 핵심 공략처”라며 “영업하지 못하게 될까봐 걱정이 크다”고 했다.
미국 연방정부의 인프라 투자 때 필요한 건설장비의 경우 두산밥캣은 미국에 공장이 있지만, 현대두산인프라코어 등은 한국에만 공장이 있어 고민이 크다. 지난해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북미지역 매출은 3억9700만달러, 현대건설기계는 5억8000만달러였다. 모두 한국에서 제작해 미국으로 수출했다. 두 회사를 거느리고 있는 HD현대그룹 관계자는 “구체적인 정책 기준에 따라 회사 대응 방향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발전은 영향 미미
미국 정부의 수출 쿼터제(연 270만t)로 수출이 제한된 철강업계는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에 특별히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국내 철강업계에 큰 영향은 없어 보이지만, 미국 연방정부 조달시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인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지난해 수출이 210억달러에 달했던 원전과 발전장비도 아직 미국의 추가 투자 계획이 없고, 있더라도 대부분 미국 회사인 GE가 수주하고 있어 영향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터빈 등 일부 발전장비의 경우에는 다른 업체도 미국에 공장이 없어 수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일부 기업은 미국 현지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LS, 대한전선 등은 미국에 생산법인을 설립하거나 확대, 운영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후/정지은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