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구 대림동의 한 직업소개소에 붙은 구인공고.  /연합뉴스
서울 구로구 대림동의 한 직업소개소에 붙은 구인공고. /연합뉴스
지금 전 세계 외식시장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구인난’이다. 코로나19 창궐 후 시작된 힘든 일 기피하는 현상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아 스타벅스 같이 내로라하는 기업들도 골치를 앓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음식서비스직의 미충원 인원(사업체의 적극적인 구인활동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인원)은 1만5000명에 달했다. 34개 직종 중 전년 동기대비 가장 많이 불어났다.

현장에선 연봉으로 환산했을 때 공공기관 초봉보다 많은 수준의 일당을 제시하는데도 직원을 구입하지 못해 폐업을 고민하는 자영업자가 상당수다. 서울 대치동에서 최근 문을 연 한 식당은 ‘월급 300만원’을 내걸고 홀·주방 직원을 모집하고 있다. 하지만 3개월째 감감무소식이다. 이 식당은 채용 후 3개월이 지나면 월 330만원, 경력이 더 쌓이면 350만원을 주는 조건도 제시했다.

하루 10시간씩 주 5일 근무한다고 가정하면 입사 3개월 후 연 환산 임금(4대 보험 적용)은 4165만원, 숙련 시에는 4417만원이 된다. 여러 변수를 제외하고 단순 계산 시 올해 공공기관 신입사원 평균 연봉 3944만원(취업 포털 인크루트)을 훌쩍 뛰어넘는다.

문제는 이런 조건에도 “일하겠다”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모집공고를 낸 A씨는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지면서 사람이 필요해진 지난해 8월께부터 구인난이 심해졌다”며 “월급 350만원이면 외식업종 내에서도 많은 편인데도 사람 구하는 게 쉽지 않다”고 했다. “300만원 밑으로는 꿈도 못 꿀 지경”이라는 게 그의 얘기다.

이런 실상은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3분기 음식서비스직 미충원 인원 1만5000명은 1년 전보다 8000명(53.3%) 늘어난 규모다. 조사대상 34개 직종 중 가장 많이 늘었다. 한 외식기업 최고경영자(CEO)는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로봇, 키오스크 등으로 가까스로 대응하지만, 영세 자영업자들은 이마저도 쉽지 않다”며 “폐업 말고는 답이 없다는 업주가 많다”고 말했다.


“이번 달은 그나마 방학기간이라 아르바이트생이 2명 와 있어 나아요. 방학 끝나고 다음 달부터가 문제죠. 매장이 돌아가려면 홀에 7명, 주방에 7명, 설거지, 청소 등에 4명이 필요한데, 지금 모든 지점에서 홀·주방 각각 2~3명씩 부족합니다. 사람 못 구해서 문을 닫아야 할 판이라는 점장이 한둘이 아니에요.”

10일 만난 서울 도심권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박모 점장은 얼굴에 수심이 가득했다. 한참 전 인터넷에 올려둔 구인공고는 몇 달째 함흥차사다.

사람이 없어 매일 ‘2인분’ 이상을 해내야만 하는 기존 직원들은 초주검이다. 그는 “어렵사리 사람을 뽑아도 ‘일이 많다’며 며칠 만에 그만두는 악순환에 빠진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최저임금보다 50% 높였는데…

자영업자들의 실상은 더 심각하다. 올해 최저임금(9620원)보다 55.9% 많은 시급 1만5000원에 구인공고를 올려도 일하려는 사람이 없다. 서울 중구에서 일본 가정식 식당을 운영하는 점주 A씨는 “장사 경력 10년 중 최악”이라고 했다.

그는 “코로나19 전만 해도 구인 공고를 올리면, 문의 전화가 쇄도해 전화 받느라 정신이 없었다”며 “지금은 무료광고로는 구인이 안 돼 열흘에 24만원 주고 알바 사이트에 유료광고를 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인건비, 식자재 구입비 등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와중에 알바모집 광고비까지 더해졌다는 얘기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의 ‘2023년 1분기 외식산업 동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외식사업자들의 인건비 부담은 꾸준히 우상향 궤적을 그리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에 인건비 부담이 3분기보다 늘어났다고 밝힌 외식사업자는 전체 응답자의 57.8%(166명)에 달했다.
매출이 줄었다고 대답한 사업자는 65.5%(188명)다.

응답자들은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응답자의 73.2%(210명)가 “올해에도 인건비가 더 늘어날 것 같다”고 답했다.
구직자가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게시판에 게시된 구인정보를 읽고 있다.  /연합뉴스
구직자가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게시판에 게시된 구인정보를 읽고 있다. /연합뉴스

무인화가 불편한 자영업자들

늘어나는 인건비 부담에 서빙로봇, 키오스크, 주문용 태블릿PC 등을 도입하는 매장도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기존 직원들의 업무량을 조금이라도 줄여보려는 목적이다.

문제는 만만치 않은 구입비용 대비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점이다. 서울 광화문에서 수제빗집을 운영하는 B씨는 “두 달 전 1300만원을 들여 식당 테이블 27개 전체에 주문용 태블릿PC를 설치했다”며 “서빙로봇도 써 봤는데, 되레 불편함만 초래하고 사람을 쓸 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느려 다시 치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상당수 자영업자는 고용을 포기하고 ‘나 홀로’ 가게를 꾸려나가는 중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418만7000명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본격화하기 전인 2019년 12월(404만9000명)보다 14만8000명 불어났다. 전체 자영업자 중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도 3년 새 73.8%에서 75.2%로 증가했다.

“外人 유입 늘려야”

현장에선 최악의 구인절벽을 뚫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들을 적극적으로 외식업 시장에 유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손무호 한국외식업중앙회 단장은 “예전에는 ‘식자재비, 임대료 때문에 힘들다’는 외식업자들이 많았다면 이제는 ‘사람이 없어 더는 못 버티겠다’는 업자들이 더 많다”며 “외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외국인의 취업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국인이 외식업장에 취업하려면, 전문 취업비자인 E7 비자를 받아야 한다. 발급 장벽이 높아 외식업계가 원하는 수준의 외국인 인력은 취업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손 단장은 “조리 관련 자격증이 있어도 외식 분야에서 경력이 3년 이상 돼야 한국에 취직할 수 있다”며 “이를 완화해줘야 외국인이 원활히 외식시장에 유입돼 인력난이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지윤/최해련/안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