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올해 감산 강도를 높이거나 오래 이어가지 않겠다는 방침을 시사했다. 지난해 10월 ‘유례없는 수준’의 감산을 선언한 지 4개월 만에 전략을 조정한 것이다. 강도 높은 감산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장 우려를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박정호 "SK하이닉스 감산 강도 안 높인다…챗GPT가 새 수요"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오른쪽)은 15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원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기자들을 만나 반도체 생산과 관련, “엄청난 감산은 하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박 부회장은 “공급이 초과할 때는 ‘슬로 다운’을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너무 감산하는 것도 경쟁력 차원에서 좋은 것은 아니다”며 “다양한 극복 방안을 생각 중”이라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말부터 글로벌 경기 침체로 재고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 웨이퍼 투입량을 줄여왔다. SK하이닉스가 감산을 선언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13년 만이다. 올해 설비 투자 계획도 지난해보다 50% 이상 줄였다.

다만 올해 반도체 시장 상황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라고 박 부회장은 진단했다. 그는 이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가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앱’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데이터 생산, 저장,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업 주요 리스크로는 ‘인력 확보’를 꼽았다. 박 부회장은 “마이크론이 우수 인재를 키워놓으면 인텔이 데려가고, 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력을 뽑아간다”며 “2031년 학·석·박사 기준 총 5만4000명 수준의 인력 부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감산 강도 안 높인다…챗GPT가 새 수요"
김기남 삼성전자 SAIT 회장(왼쪽)도 이날 기조연설을 맡아 “삼성이 반도체 계약학과를 만들어 봐도 잘 안된다”며 “인력 육성은 기업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국가와 학계, 산업계가 협력해 풀어가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