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잔치 비판에…은행권, 취약계층에 3년간 10조+α 추가 지원
은행권이 앞으로 3년간 금융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10조원을 공급한다.

최근 정부가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은행권을 정조준해 과도한 이자장사라고 날선 비판을 쏟아낸 데 따른 후속조치 성격이다.

은행연합회는 15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은행 사회 공헌 프로젝트' 방안을 발표했다.

저소득·저신용자 및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공동 사회공헌 사업 등을 확대해 서민 금융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은행권은 고금리·고물가로 인해 취약계층이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1500억원을 긴급생계비 지원 재원으로 활용해 약 2800억원을 공급한다.

신용회복위원회 등을 통해 채무를 성실히 상환 중인 서민들을 위해서는 900억원을 저금리 소액대출 재원으로 활용해 약 1700억원을 공급한다.

또한 은행권은 금리 인상에 따른 중소기업의 자금애로와 금융비용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1600억원을 중소기업보증 재원으로 활용, 약 2조원을 공급한다.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사회 취약계층 등을 위한 보증사업, 은행권 사회공헌플랫폼 뱅크잇을 통한 공익사업 목적으로 약 5500억원도 지원한다.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국민은행 등 5대 은행은 공적 보증기관에 대한 특별출연금을 기존 연간 약 2600억원에서 약 3200억원으로 연간 약 600억~700억원 증액한다. 이를 통해 향후 3년간 약 3조원을 추가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서민금융 공급을 늘려 취약계층 등 경제적 어려움도 경감한다.

새희망홀씨 등 은행권의 서민금융상품 공급을 기존 목표(연간 6조4000억원)보다 매년 6000억원씩 확대해 약 1조8000억원을 추가로 공급한다.

고금리, 고물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취약차주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제2금융권 고금리 신용대출을 은행권 대출로 대환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약 5000억원 이상을 신규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밖에 지난해 9월 출시된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대출’의 공급실적을 제고하고, 소상공인의 고금리 부담을 적극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향후 3년간 은행권 추가 보증재원 약 800억원을 출연한다.

은행별로는 저금리 대환, 저신용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취약차주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대한 신규 공급액은 약 7000억원이다.

은행권은 "향후에도 적극적인 사회환원을 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보미기자 bm0626@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