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선규 첫 주연 '카운트'…경쾌한 스포츠물, 아쉬운 차별화 [영화 리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포츠 영화의 매력은 크다. 큰 고난과 역경,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굳은 의지와 꾸준한 연습, 긴장감 넘치는 경기 장면 등이 어우러져 감동을 준다. 그러나 그만큼 차별화가 쉽지 않다. 어디선가 본 듯한 느낌도 나고 기존 흥행작들과 비교되기도 쉽다. 오는 22일 개봉하는 영화 ‘카운트’는 이같은 스포츠 영화의 장단점을 모두 갖고 있다. 경쾌한 스포츠물에 실화를 모티브로 한 스포츠 영화라는 점에서 흥미를 자극한다. 하지만 일부 어색하고 기시감이 드는 설정으로 아쉬움을 남긴다.
이 영화는 ‘범죄도시’ ‘극한직업’ ‘승리호’ 등에 조연으로 출연했던 배우 진선규가 데뷔 19년만에 맡은 첫 주연작이다. 진선규는 “단독 주연으로 전체 서사를 끌고 간다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없었다면 거짓말”이라며 “떨리고 부담도 되지만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출은 영화 ‘해결사’를 만든 권혁재 감독이 맡았다.
영화는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경기에서 크게 고전했지만 금메달을 따 판정시비에 휘말렸던 복싱 선수 박시헌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스스로도 원치 않았던 금메달을 딴 후 국내외의 비난을 받게 된 시헌(진선규 분)은 은퇴를 하고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지낸다. 그러다 승부 조작으로 기권패를 당한 윤우(성유빈 분)를 알게 되며 전환점을 맞는다. 그는 윤우를 포함해 복싱부를 만들고 감독으로서 이들을 훈련시킨다. 영화는 복싱을 소재로 한만큼 시원한 쾌감을 잘 살려냈다. 실제 타격하는 장면들을 촬영하기 위해 배우들이 오랜 시간 훈련을 받아 더욱 실감나게 그려졌다. 복싱을 무겁게만 다루지 않고 경쾌한 코믹 영화로 그려 가볍게 즐길 수도 있다. 박 선수가 금메달을 딴 후 그의 겪은 고통과 극복 과정을 상세히 그려내며 실화가 가진 힘과 여운 또한 잘 살려냈다.
진선규는 첫 주연작임에도 힘있게 영화를 이끌어가며, 시헌의 내적 고통을 섬세하게 표현한다. 성유빈을 비롯한 링 위에서 직접 경기를 펼쳐보이는 배우들의 열연도 돋보인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많다. 코믹물이긴 하나 오프닝 초반 묘지에서의 시헌 등장 장면, 웹툰나 유튜브 먹방 인기를 예견한 장면 등도 어디선가 본듯 하며 어설프게 느껴진다. 경상도를 배경으로 한만큼 많은 배우들이 사투리를 쓰는데, 일부 대화 장면은 어색하게 다가온다. 시헌을 제외한 각 캐릭터들의 매력이 부각되지 않은 점도 아쉽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이 영화는 ‘범죄도시’ ‘극한직업’ ‘승리호’ 등에 조연으로 출연했던 배우 진선규가 데뷔 19년만에 맡은 첫 주연작이다. 진선규는 “단독 주연으로 전체 서사를 끌고 간다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없었다면 거짓말”이라며 “떨리고 부담도 되지만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출은 영화 ‘해결사’를 만든 권혁재 감독이 맡았다.
영화는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경기에서 크게 고전했지만 금메달을 따 판정시비에 휘말렸던 복싱 선수 박시헌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스스로도 원치 않았던 금메달을 딴 후 국내외의 비난을 받게 된 시헌(진선규 분)은 은퇴를 하고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지낸다. 그러다 승부 조작으로 기권패를 당한 윤우(성유빈 분)를 알게 되며 전환점을 맞는다. 그는 윤우를 포함해 복싱부를 만들고 감독으로서 이들을 훈련시킨다. 영화는 복싱을 소재로 한만큼 시원한 쾌감을 잘 살려냈다. 실제 타격하는 장면들을 촬영하기 위해 배우들이 오랜 시간 훈련을 받아 더욱 실감나게 그려졌다. 복싱을 무겁게만 다루지 않고 경쾌한 코믹 영화로 그려 가볍게 즐길 수도 있다. 박 선수가 금메달을 딴 후 그의 겪은 고통과 극복 과정을 상세히 그려내며 실화가 가진 힘과 여운 또한 잘 살려냈다.
진선규는 첫 주연작임에도 힘있게 영화를 이끌어가며, 시헌의 내적 고통을 섬세하게 표현한다. 성유빈을 비롯한 링 위에서 직접 경기를 펼쳐보이는 배우들의 열연도 돋보인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많다. 코믹물이긴 하나 오프닝 초반 묘지에서의 시헌 등장 장면, 웹툰나 유튜브 먹방 인기를 예견한 장면 등도 어디선가 본듯 하며 어설프게 느껴진다. 경상도를 배경으로 한만큼 많은 배우들이 사투리를 쓰는데, 일부 대화 장면은 어색하게 다가온다. 시헌을 제외한 각 캐릭터들의 매력이 부각되지 않은 점도 아쉽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