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대형 전시로 마이스 활성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ES급' 기후변화박람회 등
대규모 행사로 전시경쟁력 확보
국제철도산업전도 대형화 나서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 속도전
"부산엑스포 유치 포문 열 것"
대규모 행사로 전시경쟁력 확보
국제철도산업전도 대형화 나서
벡스코 제3전시장 건립 속도전
"부산엑스포 유치 포문 열 것"

15일 벡스코에 따르면 지난해 전시장 가동률은 56%로, 코로나19 전인 2019년(58%) 수준을 회복했다. 지난해 992건의 행사가 열려 전년 대비 264건이 증가했다.
올해 벡스코는 전시사업 강화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벡스코 주관 전시회는 규모 확대와 국제화로 경쟁력을 키운다. 참가 기업의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등 지역 관련 산업과의 동반성장 기반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오는 23일 여는 ‘드론쇼 코리아’는 역대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고됐다. 해외 연사를 대거 초청해 드론 기술 트렌드를 선도할 예정이다. 오는 5월 진행하는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은 철도 차량뿐만 아니라 관련 인프라와 모빌리티까지로 품목을 늘리고,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장관회의를 동시 개최하는 등 대형화 전략을 수립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환경에너지산업전’은 기존 베트남뿐만 아니라 한국 기술과 제품 수요가 높은 인도네시아, 태국 등으로 대상을 넓힌다.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규모의 신규 국제행사도 예정됐다. 벡스코는 5월 열 예정인 ‘기후산업국제박람회’를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의 시험대로 삼는다. 정부, 부산시, 기업이 참여하는 탄소중립 관련 대규모 민관 합동 행사로 기획했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부산시가 제안한 주제와도 맞닿은 기후 위기에 대한 국제적 논의의 장을 마련해 ‘탄소중립 중심 도시 부산’이라는 위상을 제고할 예정이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