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반도체 인재 다 뺏긴다"…삼성·SK하이닉스 '일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정호 "반도체 인력 양성, 저출산 문제만큼 복잡"
김기남 "기술 경쟁력에 인력이 가장 중요"
"국가, 학계, 산업계 노력…선순환 사이클 만들어야"
김기남 "기술 경쟁력에 인력이 가장 중요"
"국가, 학계, 산업계 노력…선순환 사이클 만들어야"
"마이크론이 (인재를) 똑똑하게 만들어놓으면 인텔이 데려가고, 마이크론은 빈자리에 삼성과 SK하이닉스 사람을 뽑아간다. 인텔이 인재를 키워놓으면 구글과 엔비디아로 간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사진)이 반도체 인력난을 호소하며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해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원장 송호근) 개원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우리도 좋은 인재가 필요한데 실제로 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더 좋은 인재를 데려간다"며 "인재 양성에 대해서는 저출산 문제만큼이나 복잡한 함수를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최근에 반도체 학과에 입학하기로 했다가 학생들이 안 들어왔다고 한다"며 "그래도 (학생이) 많이 채워졌다고 들었지만, 학생들에게도 한번 워크숍을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대기업과 소부장,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공장)'을 구축하는 안도 제안했다.
미니 팹은 반도체 생태계 기업과 학계의 연구 결과나 시제품 분석, 양산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형태로 팹 장비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회장도 반도체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회장도 이날 학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맡았다.
김 회장은 "(반도체) 첨단 기술 경쟁력을 만들어내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인력"이라며 "아무리 지금 인공지능(AI)과 챗GPT가 잘한다고 해도 반도체 공정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으면 전혀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수한 인력을 통해 만들어진 최첨단 기술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며 "우수한 인력이 있으면 기술 혁신은 지속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력 양성에 관해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된다"며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의 반도체 육성 정책에도 최근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정시 모집 1차 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하는 등 반도체 계약학과가 인재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은 "국가가 훌륭한 정책을 만들고 연구개발(R&D)을 통해 학교에서 좋은 인력을 양성하도록 뒷받침하면 그 인력이 회사에 들어와 돈을 벌고 회사는 재투자를 한다"며 "이런 사이클을 만들면 문제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반도체 정책에 대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도체 지원이나 육성이 필요하다"며 "적어도 경쟁국에 뒤지지 않는 정도의 지속적인 정책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사진)이 반도체 인력난을 호소하며 우수 인력 양성을 위해 산업계와 학계, 정부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원장 송호근) 개원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우리도 좋은 인재가 필요한데 실제로 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더 좋은 인재를 데려간다"며 "인재 양성에 대해서는 저출산 문제만큼이나 복잡한 함수를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최근에 반도체 학과에 입학하기로 했다가 학생들이 안 들어왔다고 한다"며 "그래도 (학생이) 많이 채워졌다고 들었지만, 학생들에게도 한번 워크숍을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대기업과 소부장,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공장)'을 구축하는 안도 제안했다.
미니 팹은 반도체 생태계 기업과 학계의 연구 결과나 시제품 분석, 양산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형태로 팹 장비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회장도 반도체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회장도 이날 학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을 맡았다.
김 회장은 "(반도체) 첨단 기술 경쟁력을 만들어내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인력"이라며 "아무리 지금 인공지능(AI)과 챗GPT가 잘한다고 해도 반도체 공정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으면 전혀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수한 인력을 통해 만들어진 최첨단 기술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며 "우수한 인력이 있으면 기술 혁신은 지속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력 양성에 관해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된다"며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의 반도체 육성 정책에도 최근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정시 모집 1차 합격자 전원이 등록을 포기하는 등 반도체 계약학과가 인재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김 회장은 "국가가 훌륭한 정책을 만들고 연구개발(R&D)을 통해 학교에서 좋은 인력을 양성하도록 뒷받침하면 그 인력이 회사에 들어와 돈을 벌고 회사는 재투자를 한다"며 "이런 사이클을 만들면 문제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반도체 정책에 대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도체 지원이나 육성이 필요하다"며 "적어도 경쟁국에 뒤지지 않는 정도의 지속적인 정책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