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까지 오염수 방출 가정하에 시뮬레이션…"기존 농도에 10만분의 1 더해져"
中연구진과 비슷한 결과…"생태계·수산물 영향은 추후 연구로 밝힐 문제"
"日원전오염수 방출시, 韓해역 삼중수소는 검출되기 힘든 정도"(종합2보)
일본이 올해 3월부터 10년에 걸쳐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한국 해역의 트리튬(삼중수소) 농도는 기존의 10만분의 1 정도 높아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연구자들은 16일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올해 3월부터 2033년 3월까지 10년간 연간 최대 22T㏃(테라베크렐·베크렐은 방사능 단위)의 삼중수소가 포함된 오염수를 방출한다는 가정하에 두 기관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입자추적 기법 방사능 물질 확산모델을 활용했다.

삼중수소는 오염수에 가장 많이 포함된 방사성 핵종으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는다.

삼중수소는 해양으로 방류되면 물처럼 해류를 따라 확산·이동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후쿠시마 앞바다에 방출된 삼중수소는 10년 후 북태평양 전체로 확산한다.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되는 삼중수소는 2년 후 0.0001㏃/㎥ 농도로 일시적으로 유입됐다가 4∼5년 후부터 본격적으로 들어온다.

10년 후 약 0.001㏃/㎥ 내외로 수렴된다.

0.001㏃/㎥는 현재 국내 해역의 평균 삼중수소 농도 172㏃/㎥의 10만분의 1 수준이다.

이는 현재 분석기기로는 검출되기 힘든 정도의 농도라고 연구진은 전했다.

"日원전오염수 방출시, 韓해역 삼중수소는 검출되기 힘든 정도"(종합2보)
김경옥 해양과기원 책임연구원은 "방출된 오염수는 대개 구로시오 해류를 타고 미국 쪽으로 이동한다"며 "이 해류를 거치지 않고 관할 해역에 바로 유입되는 건 특이한 경우인데 이 역시 고려한 연구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해류는 꾸준히 흐르지 않고 계절별 변동이 있다"며 "방류 2년 뒤 일시적으로 삼중수소가 유입되는 이유도 이 시기 해류가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번 시뮬레이션 결과는 2021년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2022년 칭화대에서 각각 실시한 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하다.

2021년 중국 제1해양연구소에서는 일본이 10년간 총 900T㏃의 삼중수소를 희석 없이 방출하는 상황을 가정해 5년 후에 약 0.001㏃/㎥ 농도의 삼중수소가 우리나라 관할해역에 도달한다고 발표했다.

2022년 칭화대에서는 일본 동쪽 태평양 해역의 농도를 1이라고 했을 때 10년 후 상대농도 0.01의 삼중수소가 우리나라 관할해역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연구진은 방출되는 삼중수소의 총량을 이번 연구보다 4배 정도 많게 가정했는데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중국 제1해양연구소의 연구는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실시계획안이 나오기 전에 이뤄져 10년 동안 삼중수소가 900T㏃ 방출될 것이라는 전제를 깔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일본 정부의 발표를 반영해 1년에 최대 22T㏃, 10년에 총 220T㏃이 방출된다는 가정이 들어갔다"며 "방출량이 4배 정도 차이가 난다"고 부연했다.

다만 연구진은 삼중수소가 우리나라 관할 해역에 유입됐을 때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는 연구 내용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실시계획 자료만을 가지고 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한 것"이라며 "실제로 생태계나 수산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게 될지에 대한 판단은 추후 연구를 통해 밝힐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수가 어떻게 순환할 것인지 예측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게 더 정밀한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