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 "카카오에 권한 넘긴 것 아냐, 악의적 곡해"…하이브 주장 반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와 카카오 간 체결된 전환사채인수계약이 주주 이익을 훼손하는 내용이라며 필요한 민⋅형사상의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 밝힌 가운데, SM이 반박에 나섰다.
24일 하이브는 SM과 카카오 간 사업 협력 및 주식발행 계약에 △카카오의 우선적 신주인수권이 명시돼 있고, △ SM 아티스트의 국내·외 음반 및 음원 유통, 국내 공연과 팬 미팅 티켓 유통 등을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계열사 포함)를 통하도록 한다는 조항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SM은 "회사의 신규 제3자 배정 방식 투자 유치는 계획된 바가 전혀 없다"며 "특히 SM은 현재 정관상 신주 발행 한도가 거의 다 찼기 때문에(잔여 한도 약 2만주, 0.08%), 정관 변경 없이는 추가 신주 발행을 하는 것이 법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카카오가 SM에 추가적으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요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분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는 투자계약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문구를 주주들을 호도하기 위해 악의적으로 곡해하는 것이며, 실사 없이 졸속으로 적대적 인수를 추진했다는 방증"이라고 맞섰다.
SM 아티스트의 음반·음원 유통에 대한 권한을 카카오 측에 넘겼다는 것도 '기간 제한 없는'이라는 부분은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 SM은 "사업협력계약에 항목별 세부 내용이 없는 것을 두고 무기한 권리를 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세부 내용은 향후 구체적으로 개별 계약을 진행할 때 별도로 논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SM의 국내외 매출 증대에 직결되는 부분으로, 중장기적인 음원 경쟁력 및 수익성 강화 측면에서 신중히 검토하며 최선을 다해 협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엔터에서 북·남미 지역에서 SM 아티스트들의 매니지먼트를 관리하는 것 또한 사실이 아니라며 "합작법인을 만들어 협력하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장윤중 카카오엔터 글로벌전략담당 부사장을 선정한 것은 글로벌 사업 협력을 논의하기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라고 했다.
SM은 "하이브의 적대적 M&A는 K팝 독과점 폐해로 이어진다"면서 "단일 기업의 시장 독과점은 K-POP의 다양성과 공정 경쟁을 저해하고 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이브의 지분 인수를 "SM에 대한 실사 한번 없이 1조원 이상의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적대적 M&A"라고 비판, "SM은 하이브의 기업 거버넌스가 건전하거나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하이브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드림메이커, 에스엠브랜드마케팅 지분을 인수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이들 회사의 지분 가치는 SM 주주들에게 돌아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하이브가 두 회사 지분을 매입하는 것은 이 전 총괄에게 별도의 프리미엄을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SM 주주들에게 손해가 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고 했다.
SM은 "강력한 경쟁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오직 '하이브의, 하이브에 의한, 하이브를 위한 K팝 산업'을 구축하려는 것임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며 "만약 하이브의 적대적 M&A가 성공한다면 SM 구성원과 주주, 팬, 아티스트는 물론 K팝 산업과 생태계 전체에 피해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24일 하이브는 SM과 카카오 간 사업 협력 및 주식발행 계약에 △카카오의 우선적 신주인수권이 명시돼 있고, △ SM 아티스트의 국내·외 음반 및 음원 유통, 국내 공연과 팬 미팅 티켓 유통 등을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계열사 포함)를 통하도록 한다는 조항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SM은 "회사의 신규 제3자 배정 방식 투자 유치는 계획된 바가 전혀 없다"며 "특히 SM은 현재 정관상 신주 발행 한도가 거의 다 찼기 때문에(잔여 한도 약 2만주, 0.08%), 정관 변경 없이는 추가 신주 발행을 하는 것이 법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카카오가 SM에 추가적으로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요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분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이는 투자계약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문구를 주주들을 호도하기 위해 악의적으로 곡해하는 것이며, 실사 없이 졸속으로 적대적 인수를 추진했다는 방증"이라고 맞섰다.
SM 아티스트의 음반·음원 유통에 대한 권한을 카카오 측에 넘겼다는 것도 '기간 제한 없는'이라는 부분은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 SM은 "사업협력계약에 항목별 세부 내용이 없는 것을 두고 무기한 권리를 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세부 내용은 향후 구체적으로 개별 계약을 진행할 때 별도로 논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SM의 국내외 매출 증대에 직결되는 부분으로, 중장기적인 음원 경쟁력 및 수익성 강화 측면에서 신중히 검토하며 최선을 다해 협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카카오엔터에서 북·남미 지역에서 SM 아티스트들의 매니지먼트를 관리하는 것 또한 사실이 아니라며 "합작법인을 만들어 협력하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타비상무이사 후보로 장윤중 카카오엔터 글로벌전략담당 부사장을 선정한 것은 글로벌 사업 협력을 논의하기에 가장 적합한 사람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라고 했다.
SM은 "하이브의 적대적 M&A는 K팝 독과점 폐해로 이어진다"면서 "단일 기업의 시장 독과점은 K-POP의 다양성과 공정 경쟁을 저해하고 산업 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하이브의 지분 인수를 "SM에 대한 실사 한번 없이 1조원 이상의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는 적대적 M&A"라고 비판, "SM은 하이브의 기업 거버넌스가 건전하거나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하이브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드림메이커, 에스엠브랜드마케팅 지분을 인수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이들 회사의 지분 가치는 SM 주주들에게 돌아가야 한다. 이런 점에서 하이브가 두 회사 지분을 매입하는 것은 이 전 총괄에게 별도의 프리미엄을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SM 주주들에게 손해가 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고 했다.
SM은 "강력한 경쟁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오직 '하이브의, 하이브에 의한, 하이브를 위한 K팝 산업'을 구축하려는 것임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며 "만약 하이브의 적대적 M&A가 성공한다면 SM 구성원과 주주, 팬, 아티스트는 물론 K팝 산업과 생태계 전체에 피해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