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해 음식물 쓰레기 절감…누비랩, 구글 지원 받아 해외 공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음식 스캐너로 데이터 축적
맞춤 배식해 쓰레기 대폭 줄여
구글 '순환경제 스타트업' 뽑혀
멘토단 지원· 컨설팅 받게 돼
맞춤 배식해 쓰레기 대폭 줄여
구글 '순환경제 스타트업' 뽑혀
멘토단 지원· 컨설팅 받게 돼

‘구글 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순환경제’는 구글이 순환경제 분야에서 최초로 내놓은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구글이 선정한 스타트업에 기술, 클라우드 인프라, 네트워킹 등을 10주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에스티 챙 구글 지테크 지속가능성 매니징 디렉터는 최근 한국경제신문에 “음식물쓰레기 관리는 순환경제의 핵심 요소”라며 “누비랩과 함께 AI 기반의 음식물쓰레기 관리 플랫폼을 키워 쓰레기로 버려지는 음식량을 줄이고 여유분은 필요한 사람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 양과 식자재 비용을 모두 줄일 수 있다는 게 누비랩 측의 설명이다. 류제윤 누비랩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해 학교와 기업, 관공서 등 70곳에 솔루션을 적용했다”며 “이 중엔 음식물쓰레기를 기존 대비 60% 이상 저감한 곳도 있다”고 했다.
누비랩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전문가를 비롯한 멘토단의 지원을 받게 된다. 구글이 선정한 스타트업마다 배치하는 ‘성공 매니저’의 맞춤형 컨설팅도 받는다.
누비랩은 직원 50여 명 중 절반가량이 개발자다. 사업을 키우기 위해 꾸준히 인력을 늘리고 있다. 류 CTO는 “지난해 말부터 기획·마케팅·개발 등 각 직군을 충원하고 있다”며 “식습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건강·영양 관리 서비스 등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누비랩을 세계적인 식품산업 대표 기업으로 키우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