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노태문 "메타버스 기기 개발"…SKT 유영상 "빨리 보고싶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WC 2023
갤럭시 생태계·AI동맹 내세운 韓
삼성, 폰·청소기 등 디바이스 연결
SKT "AI 좀 한다는 기업들과 협력"
중국은 신제품 물량 공세 쏟아내
화웨이 최대 규모 전시장 꾸리고
샤오미는 '인간형 로봇' 공개
갤럭시 생태계·AI동맹 내세운 韓
삼성, 폰·청소기 등 디바이스 연결
SKT "AI 좀 한다는 기업들과 협력"
중국은 신제품 물량 공세 쏟아내
화웨이 최대 규모 전시장 꾸리고
샤오미는 '인간형 로봇' 공개

노 사장은 개막 직후 삼성전자 부스를 찾은 유 사장과 함께 기자들을 만나 “(SK텔레콤 등이 사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기를 개발 중”이라며 “완성도가 높아지는 시점에 공개할 것”이라고 했다. 유 사장은 “(삼성에서) 차세대 (메타버스) 디바이스가 빨리 나오면 좋겠다”며 “(그러면) 우리 메타버스도 더 잘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날 MWC 2023에서 세계인의 눈길을 끈 것은 삼성전자·SK텔레콤 등 한국 기업들이 손잡고 만들어가는 공고한 ‘생태계’였다.
갤럭시 생태계 내세운 삼성
국내 기업들이 내세운 ‘생태계 전략’은 여러 디바이스를 연결해 마치 하나처럼 제어하고, 각자 다른 기기의 서비스를 붙여 시너지를 내는 식으로 편의성을 높인 게 특징이다. 제품군을 이 같은 생태계로 묶어두면 ‘록인효과(자물쇠 효과)’를 낼 수 있다. 기존에 삼성전자 TV와 스피커를 쓰던 사람들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살 확률이 높아진다는 얘기다.삼성전자의 이번 전시 주요 주제 중 하나가 ‘갤럭시 생태계’인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갤럭시 스마트폰과 삼성 스마트 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 각종 디바이스에서 온·오프라인 결제를 지원하는 삼성페이 등을 내놨다. 삼성디스플레이, 구글, 퀄컴 등 파트너사들은 모두 자사 전시 부스에 갤럭시 체험 공간을 마련했다.
AI 동맹 결성한 SK텔레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개막 전날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동맹을 결성하겠다고 발표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 동맹엔 팬텀AI(자율주행), 사피온(AI반도체), 베스핀글로벌(클라우드), 몰로코(애드테크), 코난테크놀로지(영상·음성AI), 스윗(협업툴), 투아트(이미지AI) 등이 참여한다. 유 사장은 “꾸준히 AI 동맹을 늘릴 것”이라며 “‘AI를 좀 한다’는 기업들과는 어떤 형태로든 협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물량공세 쏟아낸 중국
생태계를 구성해 방어막을 친 한국과 달리 중국은 각개약진으로 전장에 뛰어들고 있다. 특히 올해 중국 기업들은 작정하고 MWC 전시에 힘을 쏟았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미국 시장 공략이 어려워지자 유럽을 해외 공략의 최우선 지역으로 꼽은 까닭이다.화웨이는 MWC가 열리는 피라그란비아 전시장의 첫 번째 홀을 통째로 빌렸다. 올해 참가한 기업 중 가장 규모가 크다. 플래그십 스마트폰 메이트50 시리즈, 화웨이 워치 버즈, 워치 GT 사이버 등 거의 모든 제품군이 총출동했다. 국내 통신업계 관계자는 “화웨이 전시장 면적이 삼성전자의 다섯 배가량 될 것”이라고 귀띔했다.
바르셀로나=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