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韓서 7조원 쓸 때…한국인 해외서 18조원 카드 긁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은, 2022년 중 거주자의 카드 해외 사용실적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거주자의 카드(신용+체크+직불) 해외 사용액은 145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22억3000만달러)보다 18.9%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평균 원·달러 환율(1291원90전)로 계산하면 약 18조8000억원에 달한다.
지난 2021년 해외 카드 사용액 증가 요인이던 온라인 해외직구 규모는 7.4% 감소한 41억4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관계자는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구매가 감소했지만,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관련 입국 제한 조치 완화, 일본 무비자 입국 재개 등에 따른 내국인 출국자 수가 많이 늘어났다"고 전했다.
지난해 해외에서 사용한 카드 수는 5128만8000장으로, 1년 전보다 10.4% 늘었다. 장당 사용 금액도 전년 263달러에서 지난해 283달러로 증가했다.

카드 수는 1377만1000장에서 2501만장으로 81.6% 증가했지만, 장당 사용 금액은 263달러에서 234달러로 소폭 줄었다. 이는 개인당 지출 규모가 가장 큰 중국인의 관광이 재개되지 않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관광객 1인당 지출 규모는 평균 1689달러로, 미국(1106달러), 일본(675달러) 등 주요국 관광객의 지출을 웃돈다. 앞서 한은은 중국 관광객 100만명이 한국을 방문하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08%포인트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해외여행이 늘어나면서 여행수지 적자 심화도 우려된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여행수지 적자는 11억3730만달러(약 1조4700억원)로, 1년 전(7억4100만달러)보다 53.5% 증가했다. 월별 기준으로는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되기 직전인 2020년 1월(13억9690만달러)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적자 폭이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