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불안 부추기는 기사 쓰지 말라"는 행안부
새마을금고는 농협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상호금융회사다. 전국에 개별 금고만 1295곳, 자산은 260조원에 이른다. 웬만한 지방금융지주보다 덩치가 세 배 가까이 크다.

숫자만 보면 풀뿌리 서민금융회사라 할 만한데 잡음이 끊이지 않는다. 최근엔 개별 금고를 관리감독하는 새마을금고중앙회와 대구 지역 금고 12곳이 대규모 부실이 예상되는 대출의 충당금 적립을 두고 갈등을 벌이면서 논란을 빚었다. 이들 금고는 2016년 착공한 오피스텔 사업장에 집단대출을 내줬다가 건설사의 횡령 혐의와 자금난 등으로 여태 발목이 잡혀 있다. 설상가상 이 중 일부를 비롯한 대구·부산 지역 금고 10곳은 해당 건설사 직원 명의로 불법 자서 분양 대출을 해줬다는 의혹을 받고 피소됐다. 중앙회가 뒤늦게 작년 말 해당 대출을 부실로 분류하고 대손충당금을 쌓으라고 하자 이들 금고는 “못 하겠다”며 되레 법원으로 갔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제껏 정상 채권으로 놔둔 게 의아하다”며 “충당금 여력은 있을 텐데 경영 평가를 잘 받으려는 ‘마사지’ 아니겠느냐”고 했다.

이런 촌극을 두 달 넘게 지켜봐야 하는 예금자의 마음은 불안하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엔 “이자가 아깝지만 마음 편하게 예금을 해지했다”는 글이 잇따른다. 해지가 몰리자 지역 내 한 금고는 “관련 대출이 없다”며 안심시키는 문자를 돌렸을 정도다. 익명의 한 관계자는 “일부 예금 인출이 벌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부도를 걱정해야 하는 수준은 아닌데 안타깝다”고 했다.

이런 상황을 바탕으로 본지가 기사를 내보내자 새마을금고 감독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펄펄 뛰었다. 담당 공무원은 보도에 틀린 내용이 없다면서도 “예금 인출은 사실이 아니다” “불안을 조장한다”며 언성을 높였다.

금고들의 자본 적정성에 대해서도 ‘눈 가리고 아웅’이었다. 문제가 된 대주단으로 확인된 금고 10곳 중엔 순자본비율(작년 상반기)이 4% 선을 밑돌거나 아슬아슬한 곳이 세 곳이었다.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 7%, 유동성비율 90% 미만인 곳도 각각 5곳, 6곳에 달했다. 국제 기준에 따르는 금융당국의 규제 비율과 견주면 우려할 만한 수준이지만 행안부는 “기준이 다르다”며 “관리감독은 중앙회가 한다”고만 했다.

예금 인출 사태가 벌어지면 누구보다 예금자가 고통을 받는다. 고객 불안을 해소하고 믿고 돈을 맡길 수 있는 금융회사를 만드는 게 감독기관의 제일 책무다. 그 방법이 관리 부실을 덮고 쉬쉬하는 게 돼선 안 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