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빙로봇이 매달 2250번 그릇 날라…직원·사장님 모두 편한 세상 만들죠"
식당 한 곳당 월평균 서빙 건수 2250건, 서빙 거리 60㎞. 하루평균 10시간 사용.

서빙로봇 스타트업 비로보틱스의 로봇들이 식당 1000여 곳에서 이뤄내고 있는 성과다. 지난달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에서 분사한 비로보틱스는 렌털 서빙로봇 상품을 전국 식당과 당구장, 스크린골프장 등에 보급하고 있다. 2019년 11월 처음으로 서빙로봇을 선보인 후 지금까지 1500여 대의 로봇을 시장에 공급했다.

김민수 비로보틱스 대표(사진)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5년 뒤엔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기업이 되는 게 목표”라며 “우아한형제들의 사업부가 분사한 건 비로보틱스가 처음인데 좋은 성공 사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2019년부터 배달의민족 서빙로봇사업실을 이끌며 국내 서빙로봇 시장을 주도해왔다.

비로보틱스의 대표 상품은 국내 식당에 최적화한 서빙로봇 배민로봇S다. 36개월 대여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 서빙로봇은 매장 내 테이블 구성을 고려해 음식을 나른다. 식당을 돌아다니면서 10.1인치 터치스크린을 통해 메뉴 홍보도 가능하다. 36개월 뒤엔 반납하거나 300만원을 내고 로봇을 구입할 수 있다.

김 대표는 “폐업률이 높은 외식업계 점주들은 비싼 서빙로봇을 한번에 구입하는 걸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래서 자동차 리스 프로그램처럼 월 35만원가량 내면서 36개월 사용한 뒤 구매냐 반납이냐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반납된 서빙로봇은 중고 프로그램으로 저렴하게 대여하는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서빙로봇 상용화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은 2019년 7월 우아한형제들이 연 스마트식당 메리고키친에서다. 김 대표는 “당시 식당에 서빙로봇을 배치했는데 손님들이 로봇과 교류하는 모습이 굉장히 자연스러웠고, 여러 식당에서 도입하고 싶다는 문의가 들어왔다”며 “상용화가 가능하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외식업계는 노동 강도가 센 편이라 구인난이 심하고 어렵게 직원을 구해도 빨리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서빙로봇이 무거운 그릇을 나르는 등 단순 반복 업무를 대신하면 직원들은 체력을 아끼고 고객 응대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식당 직원 모집공고에는 ‘매장에 서빙로봇이 있다’는 게 홍보 문구로 올라올 정도다.

서빙로봇이 도움이 될지 반신반의하던 식당 주인들도 많았다. 하지만 직원들의 퇴사율이 낮아지고 효율이 높아진 게 확인되면 반응이 크게 달라졌다고 한다. 김 대표는 “처음엔 고개를 갸우뚱하던 사장님들도 이젠 ‘로봇 없인 장사 못하겠다’고 한다”며 “로봇은 항상 일할 준비가 돼 있다 보니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비로보틱스는 하드웨어 국산화를 통해 해외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지금은 하드웨어를 중국 협력사에서 공급받고 있는데 곧 국내 제작을 시작해 수출에 나선다는 목표다. 김 대표는 “우아한형제들 모기업인 딜리버리히어로와 협업해 올해 여러 국가에서 테스트 운영을 할 것”이라며 “중동과 북유럽 시장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장기적으론 조리로봇 분야로의 사업 확장도 모색 중이다. 미국 UCLA 로봇연구소와 협업해 로봇 개발에 나서기도 했다. 김 대표는 “사장과 직원 모두가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