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시민단체, 제104주년 3·1절 맞아 친일잔재청산 행동 재개
"친일 잔재 청산해야"…다시 뜨거운 감자된 김백일 장군 동상
제104주년 3·1절을 맞아 친일 잔재를 청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경남 거제 지역사회에서 울려 퍼진다.

친일잔재청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시민대책위)는 1일 오전 11시 경남 거제 고현동 거제포로수용소 내 김백일 장군 동상 앞에서 '김백일 장군 친일 행적 규탄 집회'를 연다고 밝혔다.

시민대책위는 2019년 김백일 장군 동상 앞에 '김백일친일행적단죄비'를 세운 친일김백일동상철거 거제범시민대책위원회의 바뀐 이름이다.

김백일 장군은 한국전쟁 흥남철수작전 당시 북한 피란민 약 10만명을 군함에 태워 거제로 탈출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흥남철수기념사업회는 2011년 5월 지금 자리에 김 장군을 기리는 동상을 세웠다.

하지만 김 장군이 일제 식민지 시절 항일독립군을 토벌하는 부대인 간도특설대에서 장교로 복무하는 등 행위로 친일인명사전과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며 동상 설치를 두고 논란이 이어졌다.

앞서 경남도는 동상이 무단 설치물이라며 거제시에 원상복구 명령을 내렸고, 시가 강제 철거하려 하자 흥남철수기념사업회는 집행정지 신청을 내 소송전으로 번졌다.

이 사건은 2013년 대법원까지 가서야 "동상 철거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에 따라 마무리됐다.

"친일 잔재 청산해야"…다시 뜨거운 감자된 김백일 장군 동상
시민대책위는 2019년 3월 1일 제100주년 3·1절을 맞아 김 장군 동상과 약 1.5m 떨어진 위치에 높이 3m 크기의 '김백일친일행적단죄비'를 세웠다.

이후 코로나19로 별다른 행사를 하지 못하다 이번 3·1절을 계기로 친일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재개한다.

이날 시민대책위는 흥남철수기념사업회가 김 장군 동상을 자진 철거하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또 전국의 친일 잔재 청산 관련 단체와 연대해 친일반민족행위자 선양행위 금지법 발의 및 제정을 위해 국회를 방문하는 등 관련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류금열 시민대책위 집행위원장은 "흥남철수기념사업회는 김 장군의 친일 행각이 드러난 만큼 동상을 자진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제대로 예우하고 기리기 위해서는 친일 잔재부터 청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