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2일 KT의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을 놓고 “공정하고 투명한 거버넌스가 이뤄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기자회견을 열고 ‘그들만의 리그’라고 공개 비판했다. KT 차기 CEO 인선을 위해 구성한 지배구조위원회가 외부 출신 인사 없이 전·현직 임원 네 명으로만 CEO 후보자를 압축하자 정부와 여당이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는 ‘기업 중심의 시장경제’라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민생에 영향이 크고 주인이 없는 회사, 특히 대기업은 지배구조가 중요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것(공정·투명한 거버넌스)이 안 되면 조직 내에서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가 일어나고 그 손해는 국민이 볼 수밖에 없지 않으냐”고 덧붙였다.

앞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KT의 차기 대표 후보 면접 대상자 네 명 전원이 KT 전·현직 임원인 점을 거론하며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정치권에서는 “당초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윤진식 전 산업자원부 장관 등 외부 인사가 탈락한 것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여권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특정한 인사를 미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윤 전 장관뿐 아니라 김성태 전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자문위원, 김종훈 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다른 여당 출신 인사도 서류 심사에서 고배를 마셨다.

오형주/이승우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