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청사.
극지연구소 청사.
빙하기 북극해가 민물(0‰)과 해수(35‰)가 만나는 한강 하구와 같이 약 20‰ 정도의 기수로 채워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는 천분율 기호다. 해수에 녹아있는 소금의 양이 적기 때문에 백분율(%)이 아닌 천분율로 표기한다. 기수는 민물에 비해 염분이 높으나 해수보다는 낮은 물을 의미한다. 기수는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하구와 같은 지역에 존재한다.

극지연구소 북극연구팀은 과거 8만년 동안 빙하기 서북극해 해수가 기존에 알려진 사실과 다른 새로운 환경으로 이뤄졌다고 3일 밝혔다. 세계 최초의 새로운 제시라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그동안 북극해는 산소가 풍부하고 염분이 높은 짠 바닷물로 채워졌다고 알려졌다. 연구소 관계자는 “2021년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극지연구소 팀에 의해 빙하기의 북극해는 표층부터 깊은 바닥까지 소금기가 없는 완전히 민물로 채워졌었다는 주장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물로 채워졌던 시기에 쌓인 퇴적층에는 염분이 높은 해수에서 서식하는 유공충의 미화석이 여전히 관찰되는 등 학계에서 가설로 채택되지 못했다.

제1 저자인 장광철 박사는 “북극해를 둘러싸고 존재했던 거대한 대륙빙하로부터 엄청난 양의 융빙수가 북극해로 유입되어 수층 환경이 변한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북극해에서는 최초 보고된 사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지구적 탄소 순환의 조절자로서의 북극해 역할이 순수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조명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정통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지원받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인 '북극 스발바르 기후ㆍ환경 취약성과 회복력 이해'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인천=강준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