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픽 'QD 디스플레이', "내년 15% 커질 것"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래 혁신 기술' 중 하나로 점찍은 퀀텀닷(QD·양자점)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가 QD-OLED와 미니 LED 주도로 성장세를 보이며 내년에 15% 가량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6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DSCC)에 따르면 QD-OLED와 QD-LCD의 전체 패널 면적은 내년에 약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패널 면적을 보면 QD-OLED 패널 면적은 2025년 170만㎡에 이를 전망이다. QD-LCD 패널 면적은 QD-OLED의 13배가 넘는 2천300만㎡로 예상된다.

DSCC는 보고서에서 "QD-OLED는 면적당 더 많은 양의 QD를 소비하기 때문에 재료 공급업체에 여전히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며 "QD 재료 수익의 28%는 QD-OLED 공급망에서 나올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QD는 전기·광학적 성질을 띤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입자로, 빛에너지를 받으면 스스로 색을 낸다. 이를 재료로 개발된 QD 디스플레이는 OLED 등 발광원이 빛 에너지를 발생시켜 QD가 색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DSCC 디스플레이 연구 책임자인 기욤 샹신 박사는 보고서에서 "QD는 삼성이 OLED TV에 대응하기 위해 채택하기로 한 이후 프리미엄 LCD TV에서 매우 보편화됐다"며 "이런 소위 QLED TV는 백라이트 앞에 QD 필름을 통합해 더 생생한 색상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앞서 2019년 10월 삼성디스플레이는 2025년까지 13조1천억원을 투자해 세계 최초로 QD 디스플레이 양산 라인인 'Q1라인'을 구축하고 차세대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기존 8세대 LCD 라인을 단계별로 QD 라인으로 전환하고, 기존 LCD 분야 인력도 QD 분야로 전환 배치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1년 11월 QD 디스플레이 양산을 시작한 데 이어 2022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2'에서 QD 디스플레이를 전격 공개했다.



최근 국내 사업장을 돌며 미래 핵심 기술을 점검 중인 이재용 회장은 지난달 7일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를 찾아 QD OLED 패널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이 회장은 당시 가진 직원 간담회에서 "끊임없이 혁신하고 선제적으로 투자해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실력을 키우자"며 '미래 핵심 기술'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