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가 2500선 벽을 넘지 못한 채 주춤거리고 있다. 그동안 국내 증시를 떠받쳤던 외국인 순매수가 줄어들면서다. 뚜렷한 증시 방향성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법, 애플페이 등 ‘테마주 장세’가 이어지는 분위기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단기과열종목 지정예고’ 공시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쳐 67건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2건) 대비 5배 이상 늘었다. 상승장이 한창이던 전달(51건)과 비교해도 31.4% 증가했다.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던 1월보다 오히려 2월 단기 급등세가 더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코스피지수는 2월 한 달 동안 0.5% 내리면서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외국인 매수세가 약해진 영향이다. 외국인은 지난 2월 1일부터 7일까지 5거래일 동안 국내 증시(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에서 1조4547억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2월 마지막 5거래일(2월 22~28일)에는 1조4192억원을 순매도했다.
호재가 부각된 일부 개별 종목은 돌아가면서 단기 급등세를 탔다. 지난달 3일 금융위원회가 ‘애플페이’ 국내 도입을 공식화하자 관련주로 분류되는 한국정보통신, 하인크코리아, 이루온 등이 줄줄이 상승세를 탔다. 하인크코리아는 2월 한 달 동안 69.3%, 한국정보통신은 18.9% 상승했다.
챗GPT 수혜를 본 인공지능(AI) 테마주는 상승세가 더 두드러졌다. 셀바스헬스케어는 지난달 주가가 259.9% 폭등해 전체 상장 종목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자회사인 셀바스AI가 AI 사업을 한다는 이유였다. 지난달 23~27일에는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46.3%), 코난테크놀로지(39.2%) 등도 지난달 주가가 크게 올랐다.
‘K칩스법’으로 통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퍼지면서 중소 반도체주도 급등했다. ‘K칩스법’은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관련 시설투자액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높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반도체 디자인 업체인 에이디테크놀로지(67.3%)를 비롯해 에이디칩스(50.4%), 가온칩스(48.4%) 등이 상승세를 탔다.
전문가들은 테마주가 단기 급등 이후 주가가 크게 빠질 가능성이 커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 안랩의 경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당권 경쟁 후보로 나서면서 1월 40% 이상 급등했지만 2월에는 18.9% 하락했다. SK증권과 한화투자증권도 ‘토큰증권’ 수혜가 예상되며 지난달 초 주가가 상승세를 그렸지만 고점 대비 18% 이상 하락했다.
한재혁 하나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지수는 박스권 안에서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지만 테마주 시장은 AI, K칩스법, 중국 철강 수요 등으로 여전히 분주하다”며 “시장의 수급이 받쳐주지 않거나 투자자들이 다른 테마로 넘어가면 순식간에 손실을 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현대차증권은 17일 NHN의 목표주가를 기존 2만5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높였다. 출시를 앞둔 신작 '다키스트 데이즈'의 흥행 기대감을 반영하면서다. 작년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증권가 전망치에 부합했다.이 증권사 김현용 연구원은 "NHN은 루트슈터, 서브컬쳐로 장르를 확장하고 있다. 장르를 확장하는 것만으로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다키스트 데이즈는 오는 25일부터 게임 플랫폼 스팀에서 최종 테스트에 돌입하고, 4월 글로벌 시장에 PC·모바일 버전을 출시한다. 2분기 중 모바일 서브컬처 게임 '어비스디아'도 선보일 예정이다.김 연구원은 "다키스트 데이즈 출시 후 스팀 동시접속자 수가 5만명 이상이면 흥행, 10만명 이상이면 대흥행으로 평가한다. 10만명 이상일 때 출시 분기 2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수 있다"고 했다. 작년 하반기 출시한 넥슨의 '퍼스트 디센던트'는 첫 분기 평균 동시접속자수는 9만명 수준이었다. 당시 총매출 1700억원, 영업이익 400억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작년 4분기 NHN의 매출이익은 6439억원, 영업이익은 250억원을 기록했다. 현대차증권의 추정치에 부합했다. 인건비가 하향 안정화했고, 광고선전비도 통제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실적에 대해 김 연구원은 "4분기 게임 부문은 호실적을 냈다. 웹보드 게임 매출이 견조한 점이 입증됐다. 1분기는 웹보드 성수기인데다 2분기 신작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모멘텀(상승 동력)이 강할 전망"이라고 했다.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베타 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치매 치료제들이 출시되면서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진단하는 방사성 의약품 시장의 변동이 눈길을 끈다.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을 팔아 성장한 란테우스(Lantheus)가 인수·합병(M&A)를 통해 치매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분야의 공략에 나섰다. 17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란테우스는 지난 1월 라이프몰레큘러이미징(Life Molecular Imaging·이하 LMI)을 인수했다. LMI는 뇌 속에 베타 아밀로이트가 축적돼 있는지를 표적해 진단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용 방사성 의약품 ‘뉴라체크’의 개발했다. 바이오젠·에자이의 레켐비(레카네맙), 일라이릴리의 키순라(도나네맙) 등의 출시로 치매 치료제 시장의 성장이 예상되자, 신약 사용에 앞서 거쳐야 하는 진단용 의약품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발빠르게 움직인 것이다. 베타 아밀로이드를 직접적인 표적으로 삼는 레켐비와 키순라를 처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치매 환자의 뇌 속에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적돼 있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 진단용 의약품 시장도 커질 수밖에 없다. 미 식품의약국(FDA)는 레켐비를 처방하기에 앞서 PET/컴퓨터단층촬영(CT)나 뇌척수액 검사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에서도 LMI의 뉴라체크를 위탁생산(CMO)하고 있는 듀켐바이오가 치매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내세우며 작년 12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한 바 있다. 방사성 의약품은 반감기 문제로 의약품을 생산한 뒤 길어봐야 며칠 안에 사용해야 하기에, 각지에 생산거점을 둘 수밖에 없다. 란테우스는 LMI 인수에 앞서서도 치매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을 개
NH투자증권은 17일 KT에 대해 "올해 현금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포함하녀 8% 수준의 주주환원율이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만원은 유지했다.이 증권사 안재민 연구원은 "올해 이익 증가의 상당 부분을 주주환원에 활용할 예정으로 올해 주당배당금은 2600원(배당수익률 5.5%)을 예상한다"며 "2500억원의 자사주 소각도 발표했는데 외국인 지분율 한도 49%가 있어 자사주를 당장 소각하지는 못하지만 한도 소진율이 떨어지면 소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이어 "통신 본업은 5G 투자가 일단락되면서 설비투자 부담이 줄어들고 있고 단통법 폐지에도 불구하고 올해 마케팅비용은 크게 늘어나지 않을 전망"이라며 "지난해 단행한 인력 구조조정으로 인건비 감소와 광진구 구의역 일대 KT부지 첨단업무복합개발 사업 분량이 1~2개월에 걸쳐 매출과 영업이익에 반영될 전망"이라고 했다. 안 연구원은 이와 관련 매출을 1조원, 영업이익을 3500억원으로 추산했다.지난해 4분기 실적은 일회성 비용 집행으로 적자를 기록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KT는 지난 13일 4분기 영업손실이 6551억원으로 전년 동기(영업이익 2656억원)와 비교해 적자전환했다고 밝혔다. 이 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6조5756억원과 7366억원으로 집계됐다.안 연구원은 "희망퇴직 비용이 약 1조원 정도 반영되면서 영업적자를 기록했다"며 "매출액은 무선서비스 1조7200억원, 기업서비스 8565억원, KT클라우드 2210억원으로 양호한 성과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