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1년 전에 사뒀으면 배당 수익만 10% 넘는 미국 주식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켓 트렌드
시가 배당수익률 상위 6위까지 모두 석유 관련 종목 최근 한국 주식시장 상장사들이 주주환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증시 상장사들과 비교해 소액주주들을 홀대해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결과다. 앞서 한경 마켓PRO는 <사놓고 두면 무조건 31% 번다…'그 주식 뭔가요?'>를 통해 한국 상장사 107곳의 작년 실적에 대한 주당배당금(DPS)가 작년 종가와 비교해 은행 예금 금리 이상의 시가배당률을 기록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한국 주식 투자자들이 부러워하는 미국 주식 종목들의 시가배당률은 어느정도 수준일까.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편입 종목 중 최근 12개월 동안의 주당배당금이 1년 전인 작년 3월4일 종가 대비 10% 이상인 종목은 피이오니어천연자원(이하 티커 PXD)와 라이온델바젤산업(LYB) 등 두 종목이다. 두 종목을 비롯해 12개월 동안의 시가배당률 상위 종목들 중 상당수를 석유 관련 기업들이 차지했다. PXD는 최근 12개월동안 27.24달러의 주당배당금(세금·수수료 효과 포함)을 지급했다. 작년 3월4일에 주식을 샀으면 1년 동안 배당으로 11.30%의 수익을 챙길 수 있었지만, 주가가 13.09% 하락했다.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6.48% 내렸다. 이 종목은 미국에서 독립적으로 육상유전의 석유·가스를 탐사·생산하고 있다.
최근 12개월동안 시가배당률이 두 번째로 높은 LYB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석유화학기업으로, 최근 12개월 동안의 DPS는 9.96달러다. 작년 3월4일 종가와 비교하면 시가 배당수익률은 10.25%다. 주가도 1년 동안 1.72% 내리는 데 그쳐 짭짤한 수익을 챙겼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개발하는 코테라에너지(CTRA)도 최근 1년 동안 주가는 1.72% 빠졌지만, 주주들에게 주당 2.49달러(시가 배당률 9.54%)의 배당금을 지급했다.
이어 데본에너지(DVN·시가배당률 8.68%), 다이아몬드백에너지(FANG·8.21%), EOG자원(EOG·7.47%)까지 S&P500지수에 편입된 시가 배당수익률 상위 종목 중 6개가 석유 관련 기업이었다. DVN은 1년 동안 주가가 5.17% 하락해 배당으로 챙긴 수익을 상당 부분 갉아먹었지만, 같은 기간 FANG와 EOG의 주가는 각각 4.17%와 1.82% 상승했다.
석유 관련 기업을 제외하고 주주들에게 가장 높은 배당 수익을 안겨준 S&P500지수 편입기업은 포드자동차(F)다. 최근 12개월동안 1.20달러(시가 배당률 7.12%)의 배당 수익을 지급했다. 하지만 주가 낙폭이 배당으로 올린 수익률의 3배가 넘는 22.97%에 달했다.
최근 12개월 동안의 시가 배당률 8위와 10위는 통신주인 루멘테크놀로지(LUMN)과 AT&T(T)가 각각 차지했다. 시가 배당률은 LUMN이 7.11%로 더 높았지만, 주가가 68.72% 하락해 주주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반면 T의 주주들은 6.16%의 배당수익과 함께 주가 차익도 4.18%를 챙겼다.
시가배당률 7위는 담배회사인 알트리아그룹으로, 최근 12개월동안 3.68달러(시가배당률 6.88%)를 지급했다. 주가는 11.78% 하락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시가 배당수익률 상위 6위까지 모두 석유 관련 종목 최근 한국 주식시장 상장사들이 주주환원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증시 상장사들과 비교해 소액주주들을 홀대해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결과다. 앞서 한경 마켓PRO는 <사놓고 두면 무조건 31% 번다…'그 주식 뭔가요?'>를 통해 한국 상장사 107곳의 작년 실적에 대한 주당배당금(DPS)가 작년 종가와 비교해 은행 예금 금리 이상의 시가배당률을 기록했다고 전한 바 있다.
한국 주식 투자자들이 부러워하는 미국 주식 종목들의 시가배당률은 어느정도 수준일까.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편입 종목 중 최근 12개월 동안의 주당배당금이 1년 전인 작년 3월4일 종가 대비 10% 이상인 종목은 피이오니어천연자원(이하 티커 PXD)와 라이온델바젤산업(LYB) 등 두 종목이다. 두 종목을 비롯해 12개월 동안의 시가배당률 상위 종목들 중 상당수를 석유 관련 기업들이 차지했다. PXD는 최근 12개월동안 27.24달러의 주당배당금(세금·수수료 효과 포함)을 지급했다. 작년 3월4일에 주식을 샀으면 1년 동안 배당으로 11.30%의 수익을 챙길 수 있었지만, 주가가 13.09% 하락했다. 같은 기간 S&P500지수는 6.48% 내렸다. 이 종목은 미국에서 독립적으로 육상유전의 석유·가스를 탐사·생산하고 있다.
최근 12개월동안 시가배당률이 두 번째로 높은 LYB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석유화학기업으로, 최근 12개월 동안의 DPS는 9.96달러다. 작년 3월4일 종가와 비교하면 시가 배당수익률은 10.25%다. 주가도 1년 동안 1.72% 내리는 데 그쳐 짭짤한 수익을 챙겼다.
석유와 천연가스를 개발하는 코테라에너지(CTRA)도 최근 1년 동안 주가는 1.72% 빠졌지만, 주주들에게 주당 2.49달러(시가 배당률 9.54%)의 배당금을 지급했다.
이어 데본에너지(DVN·시가배당률 8.68%), 다이아몬드백에너지(FANG·8.21%), EOG자원(EOG·7.47%)까지 S&P500지수에 편입된 시가 배당수익률 상위 종목 중 6개가 석유 관련 기업이었다. DVN은 1년 동안 주가가 5.17% 하락해 배당으로 챙긴 수익을 상당 부분 갉아먹었지만, 같은 기간 FANG와 EOG의 주가는 각각 4.17%와 1.82% 상승했다.
석유 관련 기업을 제외하고 주주들에게 가장 높은 배당 수익을 안겨준 S&P500지수 편입기업은 포드자동차(F)다. 최근 12개월동안 1.20달러(시가 배당률 7.12%)의 배당 수익을 지급했다. 하지만 주가 낙폭이 배당으로 올린 수익률의 3배가 넘는 22.97%에 달했다.
최근 12개월 동안의 시가 배당률 8위와 10위는 통신주인 루멘테크놀로지(LUMN)과 AT&T(T)가 각각 차지했다. 시가 배당률은 LUMN이 7.11%로 더 높았지만, 주가가 68.72% 하락해 주주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다. 반면 T의 주주들은 6.16%의 배당수익과 함께 주가 차익도 4.18%를 챙겼다.
시가배당률 7위는 담배회사인 알트리아그룹으로, 최근 12개월동안 3.68달러(시가배당률 6.88%)를 지급했다. 주가는 11.78% 하락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