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규 18억·함영주 15억…금융지주 회장 연봉 킹은?
4대 금융그룹 회장 중 지난해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회장은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5대 은행과 카카오뱅크 임직원의 지난해 평균 연봉도 1억 원을 넘었다.

8일 각 금융지주·은행이 공시한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지난해 성과급 9억3000만 원을 포함해 총 18억4000만 원의 보수를 받았다. 2021년 17억3000만 원(성과급 8억8000만원)보다 1억1000만 원 늘었다.

이달 물러나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도 지난해 급여 9억원을 받았다. 조 회장은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징계를 받아 내규에 따라 유보된 성과급을 아직 받지 못하고 있어서 보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지난해 보수 총액은 15억3000만원(성과급 7억1000만원 포함)이었다. 2021년 김정태 전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보수 24억 원과 비교해 약 9억 원이 적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특별퇴직금 50억원을 받기로 했고, 현재까지 이 중 일부를 수령했다.

지난해 주요 은행 임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전반적으로 늘었다. 국민은행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1300만원으로, 2021년(1억1100만원)보다 소폭 늘었다. 우리은행 임직원은 지난해 평균 1억400만원을 받았다. 2021년에는 1억원에 약간 못 미치는 9800만원이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4월 15일 이내 공시 예정”이라며 보고서에서 지난해 평균 보수를 밝히지 않았다. 다만 2021년 기준으로 각 1억620만 원, 1억600만 원으로 이미 1억 원이 넘은 상태다.

인터넷 은행인 카카오뱅크 임직원들의 평균 연봉도 1억 원을 웃돌았다. 지난해 카카오뱅크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4600만원이다. 다만 스톡옵션 행사 차익(542억3000만원)을 빼면 1인당 보수는 1억700만원 수준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