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세훈 시장의 '글로벌 톱5' 도전…도시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톱5’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서울시의 야심 찬 계획이 하나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달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에 이어 어제 나온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추진계획’은 이름 그대로 한강의 도심 내 기능과 장점을 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디자인 혁신 발표 때에 이어 이번에도 오세훈 시장이 직접 언론 브리핑에 나선 것에서 민선 8기 서울시의 당찬 의지가 엿보인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는 한마디로 서울 최대의 공간인 한강을 ‘자연성’을 강화하면서 이동·매력·활력의 생활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것이다. 55개 개별 사업이 그런 개념과 전략 아래 입체적으로 짜였다. 2007년 오 시장이 내놨던 한강 르네상스의 진화 버전인 셈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멋진 미래형 경제 도시로 발전하겠다는 것이 서울시 목표다. 경제, 연구개발, 문화·교류, 거주, 환경, 교통·접근 등 6개 항목으로 세계 주요 도시의 종합경쟁력을 재는 데 정평이 있는 일본 모리재단 평가에서 서울은 7위(2022년)다. 바로 앞의 싱가포르, 암스테르담만 추월하면 런던 뉴욕 도쿄 파리 바로 뒤에 선다. 국가 대표급 대도시끼리의 지역 경쟁이 그대로 나라 간 경쟁인 시대라는 점에서 서울의 약진은 고무적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지 못하면 바로 베를린(8위)과 멜버른(9위), 상하이(10위)에 추월당한다. 치열한 도시 간 경쟁은 건곤일척의 경제·문화 전쟁이다. 글로벌 대기업의 아시아기지 수용 등 외자유치 차원에서도 서울의 국제 경쟁력 제고는 필수다.
한강 수변공간을 국제 명소로 만들겠다는 오 시장이 제시한 일련의 ‘미래 서울’ 전략에서 또 한 가지 돋보이는 것은 ‘펀(fun)시티 서울’론이다. 서울이 ‘엄(엄숙)·근(근엄)·진(진지)’에서 벗어나 흥미롭고 재미있어 젊은 세대가 더 좋아하는 역동적 도시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웅장한 글로벌 대도시가 통상 그렇듯이, 무겁고 장중하기만 한 도시는 미래 발전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서울의 경쟁력이 곧 대한민국 경쟁력인 시대다. ‘다이내믹 코리아’를 견인하는 서울의 약진을 성원한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는 한마디로 서울 최대의 공간인 한강을 ‘자연성’을 강화하면서 이동·매력·활력의 생활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것이다. 55개 개별 사업이 그런 개념과 전략 아래 입체적으로 짜였다. 2007년 오 시장이 내놨던 한강 르네상스의 진화 버전인 셈이다.
이 전략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멋진 미래형 경제 도시로 발전하겠다는 것이 서울시 목표다. 경제, 연구개발, 문화·교류, 거주, 환경, 교통·접근 등 6개 항목으로 세계 주요 도시의 종합경쟁력을 재는 데 정평이 있는 일본 모리재단 평가에서 서울은 7위(2022년)다. 바로 앞의 싱가포르, 암스테르담만 추월하면 런던 뉴욕 도쿄 파리 바로 뒤에 선다. 국가 대표급 대도시끼리의 지역 경쟁이 그대로 나라 간 경쟁인 시대라는 점에서 서울의 약진은 고무적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지 못하면 바로 베를린(8위)과 멜버른(9위), 상하이(10위)에 추월당한다. 치열한 도시 간 경쟁은 건곤일척의 경제·문화 전쟁이다. 글로벌 대기업의 아시아기지 수용 등 외자유치 차원에서도 서울의 국제 경쟁력 제고는 필수다.
한강 수변공간을 국제 명소로 만들겠다는 오 시장이 제시한 일련의 ‘미래 서울’ 전략에서 또 한 가지 돋보이는 것은 ‘펀(fun)시티 서울’론이다. 서울이 ‘엄(엄숙)·근(근엄)·진(진지)’에서 벗어나 흥미롭고 재미있어 젊은 세대가 더 좋아하는 역동적 도시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웅장한 글로벌 대도시가 통상 그렇듯이, 무겁고 장중하기만 한 도시는 미래 발전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서울의 경쟁력이 곧 대한민국 경쟁력인 시대다. ‘다이내믹 코리아’를 견인하는 서울의 약진을 성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