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시 카츠히코 교수. /사진=뉴스1
하야시 카츠히코 교수. /사진=뉴스1
일본 연구팀이 수컷 생쥐의 세포로 난자를 만들어 두 마리의 수컷 생쥐 사이에서 새끼를 출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수컷의 세포로 생식이 가능한 난자를 배양해 낸 첫 번째 사례로 향후 불임 치료나 동성 커플도 생물학적 자녀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과 BBC 방송 등은 하야시 카츠히코 오사카대 교수가 이날 영국 런던에서 열린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의 인간 유전자 편집 국제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하야시 교수는 "수컷 체세포로부터 난모세포(난자)를 만든 첫 사례"라면서 "이를 토대로 10년 안에 인간 남성의 세포로도 비슷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생식세포 실험실 배양의 권위자인 하야시 교수는 이번 연구를 규슈대에서 진행했다. 연구팀은 우선 수컷 쥐의 피부세포를 채취해 줄기세포로 전환한 뒤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Y염색체를 제거한 뒤 X염색체를 복제해 갖다 붙여 암컷 성염색체인 'XX'로 변환시켰다.

이 같은 성염색체 조정으로 줄기세포는 난자가 되도록 프로그램됐고, 이 세포들은 쥐 난소 내부 환경에 맞춰 고안된 배양 시스템인 난소 오르가노이드(미니기관)에서 난자로 배양됐다.

연구팀은 이렇게 배양된 난자를 수컷 정자와 수정시켜 약 600개의 배아를 얻었고, 이것들을 대리모 쥐에 착상시켜 총 7마리의 새끼 쥐가 태어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성공률은 약 1%로, 정상적 암컷에서 채취한 난자를 이용했을 때 배아의 5% 정도가 새끼로 태어난 것에 비해 낮았지만 두 아빠 쥐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쥐들의 건강 상태를 양호했고, 수명도 보통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하야시 교수는 "이 쥐들은 정상적으로 자라 아빠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가 용인한다면 원래 불임 여성 치료를 위해 발족한 이번 연구 결과물이 동성 커플의 자녀 출산에도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한 남성이 자기 정자와 인공적으로 창조된 난자를 사용해 아기를 만드는 것은 찬성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하야시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제출했다.

조지 데일리 하버드 의대 교수는 "하야시 교수의 연구가 매력적이지만 사회가 이런 결정을 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우리는 아직 독특한 인간 배우자형성(생식 세포 형성) 생물학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했다.

쥐에 비해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훨씬 더 어렵고, 실험실에서 난자를 배양할 경우 유전적 오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