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전문가들 "美 금리 6% 땐 신흥국 경제 붕괴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상·하원 청문회 발언 이후 미국의 최종금리 전망치가 6%까지 높아졌다"면서 "금리가 6%에 도달할 경우 신흥국 경제가 무너질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를 훨씬 상회하고 글로벌 GDP가 약화된 상황에서 고강도 긴축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세계 경제가 취약한 상태에서 미국의 기준금리가 6%까지 오를 경우 신흥국 경제가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시장 관계자들은 연준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0.25%p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3월 0.50%p 빅스텝을 시사하며 선물 시장에서 미국의 최종금리 전망치는 6%까지 상향 조정됐다.
또한 글로벌 IB(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연준의 3월 빅스텝이 신흥국들의 금리 변동성을 확대시킬 것이라며 연준이 추가 금리인상에 나설 경우 신흥국도 금리를 올려야 되기 때문에 글로벌 경제가 더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외에도 JP모간은 미국의 최종금리가 예상보다 낮게 조정되면 달러가 약세로 전환될 수 있겠지만 연준이 3월 FOMC 회의에서 0.50bp 금리인상에 나설 경우 달러 강세로 추세가 전환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성진외신캐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