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영 이사장 "이젠 세계 어디서나 아바타로 한국어 배울 수 있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구축한 이해영 세종학당재단 이사장
국내 최초로 한국어교육학 전공
창립 10주년 맞아 메타버스 도입
"한국어는 외국인에 '꿈의 언어'
가문을 일으키려 배우기도 해"
국내 최초로 한국어교육학 전공
창립 10주년 맞아 메타버스 도입
"한국어는 외국인에 '꿈의 언어'
가문을 일으키려 배우기도 해"
한옥으로 꾸민 도서관 앞에서 파란 양갈래 머리를 한 아바타가 “안녕” 하고 말을 걸어왔다. 마을로 나가 광장시장으로 갔더니 이번에는 토끼 모자를 쓴 아바타가 “어느 나라 사람이니” “뭐가 맛있어”라고 물었다.
지난달 7일 문을 연 ‘메타버스 세종학당’ 모습이다. 메타버스 세종학당은 세종학당재단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구축한 온라인 2차원(2D) 한국어 교육 플랫폼이다. 학습자들이 가상공간에서 만나 실시간으로 한국어로 소통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서비스 개시 한 달을 맞아 최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만난 이해영 세종학당재단 이사장(사진)은 “시범 서비스 첫날 123개국에서 4643명이 방문했으며 정식 개통한 뒤 한 학기 동안 듣는 강의에 560명 정도가 등록했다”며 “메타버스 공간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뤄진 건 국내 최초”라고 말했다. 그는 “외국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찜질방, 분식집 등을 한국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경험할 수 있어 반응이 좋다”고 덧붙였다.
세종학당재단은 세계 84개국에서 세종학당 244개를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한다. 2021년 한 해에만 온·오프라인에서 강의를 들은 학생이 16만7000명에 달했다. 이 이사장은 “K팝, K드라마 등 한류를 통해 한국을 접한 외국인들이 이제는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며 “‘한국어로 가문을 일으키겠다’고도 한다”고 했다.
이 이사장은 세계에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전파할 때 가장 중요한 점으로 ‘상호문화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일방적으로 알리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문화를 존중하고 서로 나눌 수 있는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각국 세종학당에서 공부한 뒤 국내에서 활동하는 ‘대한외국인’도 많다. 방송인 타일러 라쉬는 미국 워싱턴 문화원 세종학당에서 공부했다. 한국의 매력에 빠져 경기민요 이수자가 된 난시 카스트로는 멕시코 문화원 세종학당 출신이다. 이 이사장은 “조사 결과 30% 이상이 한국에 유학 오고 싶다고 답했다”며 “한국어는 이제 ‘꿈의 언어’”라고 했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이기도 한 이 이사장은 국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나 지도교수의 조언에 따라 한국어교육학이라는 국어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그는 국내 최초의 한국어교육학 교수다.
이 이사장은 임기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 지난해 재단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연 ‘10명 명사 특강’을 꼽았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르 클레지오는 마지막 특강의 명사였다. 프랑스 거점 세종학당 개원을 기념해 열린 이 특강을 듣기 위해 13개국에서 100여 명이 참석했다. “섭외가 너무 어려워 애를 먹었는데 클레지오가 세종 리더십과 한글의 과학성을 설파해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재단은 올해 아프리카와 중동지역에 세종학당을 늘리는 데 힘쓸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UAE)와 협업형 세종학당 개설을 논의하고 있다. 이 이사장은 “세종학당 수강생들이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 더 나아가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대학 기업 등 각 기관과 협력해 인턴십, 장학 후원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
지난달 7일 문을 연 ‘메타버스 세종학당’ 모습이다. 메타버스 세종학당은 세종학당재단이 창립 10주년을 맞아 구축한 온라인 2차원(2D) 한국어 교육 플랫폼이다. 학습자들이 가상공간에서 만나 실시간으로 한국어로 소통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서비스 개시 한 달을 맞아 최근 서울 서초동 사무실에서 만난 이해영 세종학당재단 이사장(사진)은 “시범 서비스 첫날 123개국에서 4643명이 방문했으며 정식 개통한 뒤 한 학기 동안 듣는 강의에 560명 정도가 등록했다”며 “메타버스 공간에서 한국어 교육이 이뤄진 건 국내 최초”라고 말했다. 그는 “외국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찜질방, 분식집 등을 한국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경험할 수 있어 반응이 좋다”고 덧붙였다.
세종학당재단은 세계 84개국에서 세종학당 244개를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콘텐츠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한다. 2021년 한 해에만 온·오프라인에서 강의를 들은 학생이 16만7000명에 달했다. 이 이사장은 “K팝, K드라마 등 한류를 통해 한국을 접한 외국인들이 이제는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며 “‘한국어로 가문을 일으키겠다’고도 한다”고 했다.
이 이사장은 세계에 한국 문화와 한국어를 전파할 때 가장 중요한 점으로 ‘상호문화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일방적으로 알리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문화를 존중하고 서로 나눌 수 있는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각국 세종학당에서 공부한 뒤 국내에서 활동하는 ‘대한외국인’도 많다. 방송인 타일러 라쉬는 미국 워싱턴 문화원 세종학당에서 공부했다. 한국의 매력에 빠져 경기민요 이수자가 된 난시 카스트로는 멕시코 문화원 세종학당 출신이다. 이 이사장은 “조사 결과 30% 이상이 한국에 유학 오고 싶다고 답했다”며 “한국어는 이제 ‘꿈의 언어’”라고 했다.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교수이기도 한 이 이사장은 국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나 지도교수의 조언에 따라 한국어교육학이라는 국어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그는 국내 최초의 한국어교육학 교수다.
이 이사장은 임기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 지난해 재단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연 ‘10명 명사 특강’을 꼽았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르 클레지오는 마지막 특강의 명사였다. 프랑스 거점 세종학당 개원을 기념해 열린 이 특강을 듣기 위해 13개국에서 100여 명이 참석했다. “섭외가 너무 어려워 애를 먹었는데 클레지오가 세종 리더십과 한글의 과학성을 설파해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재단은 올해 아프리카와 중동지역에 세종학당을 늘리는 데 힘쓸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UAE)와 협업형 세종학당 개설을 논의하고 있다. 이 이사장은 “세종학당 수강생들이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 더 나아가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며 “대학 기업 등 각 기관과 협력해 인턴십, 장학 후원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금아 기자 shinebij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