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칼럼] 수출과 소비 '새로운 패러다임' 찾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역수지 적자 일시적 아닌
구조적 형태로 고착화 우려
미·중 신냉전 장기화 예상돼
중국과 '헤어질 결심' 필요
기존 성장전략 환골탈태해야
최병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이화여대 교수
구조적 형태로 고착화 우려
미·중 신냉전 장기화 예상돼
중국과 '헤어질 결심' 필요
기존 성장전략 환골탈태해야
최병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이화여대 교수
![[다산칼럼] 수출과 소비 '새로운 패러다임' 찾아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7.27353396.1.jpg)
무역주도 경제인 한국은 경상수지 적자에 늘 경계심을 늦추지 않아야 한다.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는 대외부채 증가, 원금 상환과 이자 부담 증대로 이어지고 동시에 수반되는 원·달러 환율의 불안정성은 국가 신용등급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동안 한국 경제는 수출 호조 덕분에 상품수지 흑자로 고질적인 서비스수지 적자를 메웠지만, 이번에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모두 부진했기 때문에 사상 최악의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구조적 형태로 고착화할 우려가 있다.
문제의 핵심은 한국 제조업을 지탱해 온 패러다임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어느 주요 7개국(G7)보다도, 어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보다도 제조업 비중이 높다. 중국의 개혁개방으로의 선회, 20세기 냉전의 종식과 함께 본격화된 ‘국경 없는 세계화’를 적극 활용했기에 세계적인 제조업 국가, 세계 유수의 중화학공업국가,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IT) 국가로 부상할 수 있었다. 한국 제조업은 한국의 지리적 공간을 넘어 세계로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에서의 공장 설립과 투자는 확대 성장 경로를 가능하게 했다.
중국 관광객의 지갑에만 기대하는 여행수지 개선도 이젠 ‘헤어질 결심’을 해야 할 듯하다. 중국 당국은 최근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를 40곳 추가하면서 한국을 배제했다. 중국은 지난 2월 태국, 인도네시아 등 20개국에 대해 자국민 단체여행을 허용하면서 한국을 배제한 바 있다. 한국과 중국이 상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등 갈등 상황이 있었던 그때와 달리 이번엔 양국이 비자 발급을 정상화하고, 검역 조치도 완화한 뒤다. 미국과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1·2차 단체여행 허용 국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 경상수지 불안정의 상당 부분은 한국이 혼자서 통제할 수 없는 외생적 요인 때문이다. 미·중 신냉전의 본격화, 코로나 팬데믹의 정치화,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새로 형성된 자유 진영과 권위주의 진영 간 대립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외부 요인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지금의 난기류는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한국 경제의 성장을 지탱한 기본 패러다임의 환골탈태에 대한 시대적 요청은 이미 오래된 미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