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 / 사진=뉴스1
16일 일본을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강제징용 문제 해결은 한국 정부가 국익의 관점에서 국민을 위해 대국적 차원에서 내린 결단"이라고 일본 언론에 밝혔다. 양국 간 최대 갈등 현안으로 꼽히는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측의 호응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일제히 보도된 인터뷰에서 우리 정부가 지난 6일 발표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제3자 변제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1965년 국교 정상화 당시 합의, 2018년 한국 대법원판결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일본에서도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흔들림 없이 계승하고 미래 지향적 한일 관계를 구축해 나가자는 의견을 표명했다"며 "그에 걸맞은 행동이 있길 기대한다"고 거듭 호응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갈등과 반목을 넘어 미래를 향한 역사적 기회의 창을 열도록 양국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사진=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1박 2일 일정의 이번 방일에서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정상화 방안을 적극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 대통령의 방일은 4년 만으로, 기시다 총리의 답방이 조만간 이뤄질 경우 상대국을 오가는 정례 정상회담인 '셔틀외교'가 12년 만에 부활하게 된다.

이날 양국 정상은 소인수 회담과 확대 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발표할 계획이다. 두 정상은 이어 환영 만찬과 친교 시간을 통해 우의를 다진다. 이날 정상회담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에 이어 취임 후 두 번째 양자 회담이다.

한일 관계 최대 갈등 현안으로 꼽혔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우리 정부가 일본 전범 기업들 대신 정부 산하 재단을 통해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제3자 변제안'을 제시하면서 이번 회담이 성사됐다. 윤 대통령은 이번 결정이 미래 세대를 위한 결단이라고 강조해왔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