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격투기 선수 추성훈의 아내이자 일본의 유명 모델인 야노 시호가 자신의 동의 없이 정리되지 않은 집이 유튜브에 공개된 후 느낀 심경을 털어놨다.야노 시호는 지난 18일 추성훈의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된 '[긴급편성] 채널 대주주 야노 시호 등판 (AI, CG 아님)'이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추성훈 채널의 구독자 100만 달성을 축하했다.그는 서툰 한국어로 "추성훈 씨 유튜브 100만 구독자 축하해요"라고 인사하며 영상에 등장했다.야노 시호는 '추성훈 채널의 성공을 예상했느냐'는 질문에 "진짜 놀랐다. (이런 성공에) 엄청나게 놀랐다, 되게 놀랐다. 그리고 화났다"고 답했다.그는 처음 친구에게서 "이거 진짜 재밌다, 알고 있느냐"는 메일을 받고 추성훈의 유튜브 영상을 보게 됐으며 그제야 자신의 방이 동의 없이 공개된 사실을 알았다고 했다.제작진이 집이 공개됐을 때의 기분을 묻자 그는 "혼란스러웠다. 너무 화가 났고 조금 부끄러웠다"며 "처음에는 굉장히 슬펐고, 내가 모르는 이야기가 오가니까 감정이 정말 많이 안 좋았다. 사실 많이 울었다"고 말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분이 봐주시고 인기도 생기고 남편도 너무 좋아하고 기뻐해서 모두에게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나서 지금은 공개한 게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많이 봐주셔서 감사하다"며 생각이 변했다고 덧붙였다.추성훈의 유튜브 영상 중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를 묻자 야노 시호는 "사실은 다 안 봤다"면서도 "그중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위스키 편이 재밌게 보였다. 위스키 마셔서 재밌게 보였다"고 답했다.또한 유튜브 채널 OST로 등장해 화제가 된 '야노 시
헌정사 최초로 대통령 권한대행 신분으로 탄핵소추된 한덕수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관련 가담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한 총리는 19일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자신의 탄핵심판 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대통령이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시는지 사전에 몰랐다”며 “대통령이 다른 선택을 하도록 최선을 다해 설득했다”고 밝혔다.국회는 지난해 12월 26일 비상계엄 가담과 ‘김건희 여사·해병대원 순직 사건’ 특검법 거부권 행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국정운영 시도,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 등을 이유로 한 총리에 대해 탄핵을 소추했다.한 총리는 탄핵 사유를 전면 부정했다. 그는 “여야의 실질적 합의 없는 헌법재판관 임명은 헌정사에 전례가 없다는 점을 고민했다”며 “여야가 합의하면 즉각 임명하겠다고 약속했으나 국회는 탄핵소추로 응답했다”고 반박했다. 한 전 대표와의 공동 국정운영에 대해서도 “계엄 사태로 대외 신인도가 흔들리거나 경제가 위축되지 않도록 협력해 국정운영에 힘쓰겠다는 뜻일 뿐”이라며 “권력을 찬탈하기 위해서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헌재는 한 총리의 첫 변론기일에 증거 채택과 최후 진술을 모두 끝내고 변론을 마무리하기로 했다. 선고일은 추후 지정될 예정이다. 한 총리는 20일 윤 대통령의 10차 탄핵심판 변론기일에 조지호 경찰청장과 함께 증인으로 출석한다.한편 윤 대통령은 20일 열리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내란죄 형사재판에 직접 출석하기로 했다.박시온 기자
충남 천안에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가 잇달아 둥지를 틀고 있다. 수도권과 가까운 지리적 여건을 갖춘 데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요 기업의 생산 거점이 들어서며 천안이 빅테크의 국내 진출 교두보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천안시는 빅테크와 협업 시스템을 마련해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천안시는 프랑스 다쏘시스템,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 등과 스마트 도시 조성 및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이노베이션센터 구축 협약을 맺었다고 19일 밝혔다. 이 밖에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이 비슷한 방식의 스마트 도시 협업을 제안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내년까지 380억원을 투입해 생성형 인공지능(AI)과 가상 버추얼스테이션 개발, 스마트 기술 실증 지원, 스타트업 제품·기술 실증 공간 조성 등 스마트 도시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박상돈 천안시장은 ‘국내 유일한 스마트 도시 천안’ 슬로건을 내걸고 지난해부터 빅테크 관계자를 만나 AI, 클라우드, 3차원(3D) 솔루션 등 혁신 기술 실증 사업에 투자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또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스타트업 육성,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다쏘시스템은 3D 솔루션, 구글 클라우드는 AI, 아마존은 클라우드,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등 주력 분야와 관련한 인재 양성 및 실증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시는 빅테크와의 스마트 도시 협력을 계기로 미래 유망 스타트업 발굴 및 지원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천안 미래 유니콘 씨스타(C-STAR) 육성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유망 스타트업이 유니